![]() |
포터II 일렉트릭. /사진=현대자동차 |
17일 상용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를 비롯해 테슬라, 만트럭, 볼보, 벤츠 등이 전기트럭을 지속해서 선보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12월 브랜드 최초의 친환경 소형 트럭 포터II 일렉트릭을 출시했다. 완충 시 211㎞를 주행할 수 있다. 모터 135kW, 배터리 58.8kWh가 탑재돼 등판 능력이 준수하다. 100kW 급속충전기 기준으로 54분(80%), 7.2kW 완속충전(100%) 시 9시간30분이 소요된다.
글로벌 전기차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테슬라는 지난해 11월 전기픽업 ‘사이버트럭’을 선보였다. 사이버트럭은 정지상태에서 시속 96㎞까지 2.9~6.5초가 소요된다. 완충 시 이동가능한 거리는 최대 800㎞에 달한다.
만트럭은 2018년 7월부터 도심형 전기트럭 Cite 등을 유럽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같은 해 9월 독일에서 개최된 상용차 모터쇼(IAA 2018)에서는 15톤(t)급 도심형 전기트럭 CiTE를 공개했다. 110kWh의 배터리로 최대 100㎞ 주행이 가능한 도심형 전기트럭이다.
벤츠는 2021년 양산을 목표로 e-악트로스(최대 주행거리 200㎞)를 개발 중이다. 18, 25t급으로 완충시간은 2시간 안쪽이다. 볼보는 FL(300㎞), FE(200~300㎞) 전기차 플랫폼을 갖췄다.
전기트럭이 속속 개발되고 있지만 풀어야할 숙제도 있다. 완충 시 주행가능한 거리다. 1회 충전 시 주행가능한 거리는 테슬라를 제외하면 길어야 300㎞ 내외다. 운송업 특성상 긴 거리를 주행할 수 없다면 전기트럭은 도심형 트럭 정도로만 활용될 수밖에 없다.
충전시간에 대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차주들에게는 시간은 곧 돈이다. 충전 시 소요되는 시간은 급속으로 해도 1시간, 완속충전 시 최소 2시간 이상이다. 이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전까지 일반 차주들이 전기트럭을 선택하기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