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사진=김창성 기자 |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는 지난 2016년 12월 구역지정 이후 4년 만이며 실시계획 인가를 시작으로 토지보상을 거쳐 본격적인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구룡마을은 1100여 가구가 집단촌락을 형성된 판자촌으로 2012년 서울시가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받았지만 실제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했다.
개발방식을 두고 서울시와 강남구가 대립하면서 2014년 8월 구역지정이 해제되기도 했다. 이후 2016년 서울시가 강남구가 주장한 100% 수용방식 공영개발을 받아들이면서 다시 구역지정이 됐지만 서울시와 주민들의 의견 차이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었다.
서울시는 구역지정 이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선정해 사업을 추진해왔다.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토지주 협의체, 거주민 협의체, 관계기관 테스크포스(TF) 회의 등 수십 차례 협의와 회의, 자문 등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서울시는 공공이 건립하는 주택은 전면 임대주택으로 공급해 로또분양을 방지하는 동시에 거주민 재정착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을 개발 목표로 세웠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해당 구역에 4000가구에 육박하는 공공임대주택을 건립하고 1107가구에 이르는 기존 거주민에 대한 임대주택 재입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거주민들이 부담하는 임대료는 파격적으로 인하해 100% 재정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단지별 국제현상설계 공모를 통해 세계적 명품단지를 조성하고 다양한 계층과 연령이 단지 내 공존해 조화를 이루는 ‘소셜믹스’ 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 대안도 마련된다.
서울시는 구룡마을 개발사업을 2022년 착공해 2025년 하반기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되 자치구·거주민·토지주 등과 논의해 최대한 일정 추진을 단축해나갈 방침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열악한 환경에서 오래 생활했던 거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과 현지 재정착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도시개발사업 모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