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
◆기사 게재 순서
(1-1) ‘당근마켓’ 성공에… 롯데부터 네이버까지 중고시장 ‘눈독’
(1-2) “두 번째 기회를 주세요”… 이케아·나이키가 중고 사들이는 이유
(2-1) 누구나 한번쯤 ‘당근하세요’… 중고거래에 빠져드는 이유는?
(2-2) 신바람 난 중고시장 플랫폼… ‘거침없는 진격’
(3-1) 일상 속 스며든 중고거래 피해 ‘급증’… 해결책은?
(3-2) 변호사가 추천하는 ‘중고거래 사기 안 당하는 법’
(1-1) ‘당근마켓’ 성공에… 롯데부터 네이버까지 중고시장 ‘눈독’
(1-2) “두 번째 기회를 주세요”… 이케아·나이키가 중고 사들이는 이유
(2-1) 누구나 한번쯤 ‘당근하세요’… 중고거래에 빠져드는 이유는?
(2-2) 신바람 난 중고시장 플랫폼… ‘거침없는 진격’
(3-1) 일상 속 스며든 중고거래 피해 ‘급증’… 해결책은?
(3-2) 변호사가 추천하는 ‘중고거래 사기 안 당하는 법’
일상으로 성큼 다가온 중고거래는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하나의 소비 트렌드로 안착했다. 가치 소비의 일환으로 변모하고 있는 중고거래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고거래 플랫폼의 지난해 거래액은 번개장터 약 1조3000억원, 당근마켓 약 1조원, 중고나라 약 5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대표적인 중고거래 플랫폼(당근마켓·번개장터·중고나라)의 올해 9월 한달간 이용자 수는 1892만9448명 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1572만5553명과 비교해 약 20.3%(320만3895명) 증가한 수치다.
중고거래 ‘빅3’ 승승장구… 거래액 ‘맑음’
![]() |
번개장터 화면. /사진제공=번개장터 |
당근마켓은 2016년 13억원의 시리즈 A 투자유치에 이어 2018년 시리즈B 63억원, 2019년 시리즈C 400억원을 유치했다. 이번 시리즈D 투자에서 인정받은 기업가치는 3조원대다. 번개장터 관계자는 “앞으로 스니커즈뿐만 아니라 빈티지, 라이프스타일, 럭셔리 등 다양한 취향 및 취미 카테고리에서도 보다 더욱 진화된 중고거래 경험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이어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중고 플랫폼은 어떻게 돈을 벌까… 내실부터 다진다
![]() |
당근마켓 사진. /사진제공=당근마켓 |
번개장터는 광고 상품, 번개페이(안전 결제 시스템), 포장택배 등 여러 서비스로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고 있다. 번개장터 관계자는 “현재는 광고비와 에스크로 기반의 자체 안전결제 시스템 번개페이 거래 수수료가 전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목표로는 카테고리별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익원을 도입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중고나라 관계자는 “광고주는 중고나라의 네이버 카페, 전용 앱을 통해 타겟에 맞는 다양한 광고 상품을 활용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당근마켓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지역광고다. 개인이나 업체가 원하는 지역에 광고를 게시하는 방식으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지역 주민들을 타겟으로 광고를 만들어 노출을 할 수 있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당근 마켓은 당장의 수익을 좇기보다는 서비스 성장에 집중할 계획이며 더 많은 이용자들에게 사랑 받는 하이퍼 로컬 커뮤니티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