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반도체 패권다툼이 점차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산학협력을 확대하며 미래 반도체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7일 울산과기원(UNIST), 대구과기원(DGIST), 광주과기원(GIST) 등 세 곳과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선발 인원은 UNIST 40명, DGIST 30명, GIST 30명 등 연간 100명으로 삼성전자와 세 학교는 5년간 반도체 인재 총 500명을 양성할 예정이다.
이번에 신설되는 지방 반도체 계약학과 3곳의 교육 과정은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학생들은 반도체 클린룸 실습 등 '현장 중심 교육'을 받게 되며 반도체 설계와 S/W 등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병행한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협력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6년 성균관대에 시스템반도체공학과를 만든 데이어 지난해 연세대에 시스템반도체공학과를 설립했다.
포스텍과도 협력을 맺고 올해부터 2027년까지 반도체공학과 학생을 매년 40명 뽑기로 했고 카이스트에도 올해부터 반도체시스템공학과를 설립해 5년 동안 매년 100명 내외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기존 일부 계약학과도 정원을 확대할 예정이며 이번 3개 지역의 과학기술원까지 추가됨으로써 신설되는 계약학과 학생들이 졸업하는 2029년부터는 매년 7개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반도체 전문 인재 450명이 배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계약학과 학생들이 이론과 실무 역량을 두루 갖춘 반도체 전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인턴으로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삼성전자 임직원들도 멘토로 참여해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계약학과 학생들이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삼성전자가 등록금을 전액 부담하고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계약학과 학생들은 졸업 후에는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취업이 보장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더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며 반도에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