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클론 테크놀로지 관련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
(서울·워싱턴=뉴스1) 정윤영 기자 김현 특파원 = 중국이 미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의 제품 구매를 금지한 가운데, 마이크론이 잃은 시장 점유율을 한국과 일본 기업들이 동맹국이 차지하지 않도록 한국·일본과 협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미 의회 내부적으로 나왔다.
미국 하원의 '미국과 중국공산당 간 전략 경쟁에 관한 특별위원회'(미중 전략경쟁특위)위원장인 마이클 매콜 하원 외교위원장과 마이크 갤러거 의원은 2일(현지시간)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같이 전하며 "미 상무부는 악의적 금지 조치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보이콧 금지법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고 촉구했다.
위원장들은 "미국은 최고급 반도체 기술이 중국 공산당(중국 공산당) 군대에 사용되거나 중국 공산당의 인권 유린을 조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해야 했다"면서 "미국의 정당한 국가 안보 조치에 대해 중국 공산당은 한 미국 기업에 대한 자의적인 경제 금수 조치로 맞대응했다"고 적었다.
이어 "미국은 중국이 미국의 기업을 위협하고 경제 안보를 해칠 목적으로 미국과 동맹국 기업을 선택적으로 표적으로 삼는 것을 더 이상 방관 할 수 없다"면서 "미국은 이러한 경제 침략이 실패하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위원장들은 "미 상무부는 중국의 금수 조치를 무력화하기 위해 미국의 파트너와 동맹국들을 결집시켜야한다. 한국, 일본과 신속하게 협력해 한·일 기업들이 중국의 부당한 불매 운동으로 인해 마이크론의 매출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삼성과 SK하이닉스와 같은 한국 기업들이 마이크론의 시장 점유율을 대체하도록 허용하면 중국 정부에 위험한 신호를 보내고 한국과의 긴밀한 동맹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이 마이크론 제품에 대한 구매 제재 조치를 발표한 뒤 미 의회 내에서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채우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갤러거 위원장은 지난달 23일에도 성명을 내고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에 더욱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면서 "(미 상무부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에 대한 미국의 수출 허가가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채우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최근 몇 년간 이러한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직접 경험한 동맹국인 한국 역시 빈자리를 채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