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래경 혁신위 좌초'와 관련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당내 비명(비이재명)계와 친명계 의원들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비명계 의원들은 부실 인사의 책임을 물어 이 대표가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지만 친명계는 이 대표의 사퇴를 언급한 이들을 중징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비명(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지난 8일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치명적인 잘못을 범한 것"이라며 "대표로서 무한정 책임을 져야 할 것이고, 그 방도로서 당 대표직 사퇴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 대표가 물러나는 게 혁신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한다"며 "또 이 대표 앞에서 아무 소리 못 하는 맹종 세력이 득실거리고 국민의 민심은 제대로 전달하지 못 하는 정치 집단으로 민주당이 국민들에게 평가받는 것을 극복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친명계는 사퇴론을 칼같이 차달하고 있다. 안민석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틈만 나면 대표 사퇴하라는 내부의 주장이 있는데, 온당치 못한 것"이라며 "그런 말씀은 의총 때 얼마든지 토론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그런 (이 대표의 사퇴를 언급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당의 경고가 있어야 한다"며 "몇 차례에 대한 경고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중징계도 할 필요도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날 이 대표의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윤석열 대통령도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와 관련해서 잘못이 있으면 바로 사퇴하냐"며 "'기승전 사퇴'로 모든 사안에 대해서 판단한다면 사실은 당대표 한 달에 한 번씩 뽑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사퇴에 선을 그었다.
친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 역시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를 통해 "지금 대표가 사퇴하게 되면 전당대회를 다시 열어야 한다"며 "(총선을 앞둔) 중차대한 시기에 다시 민주당 전당대회를, 어쨌든 그런 소용돌이에 빠진다고 하는 것은 당을 더 위기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