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지난해 말 재고자산 증가율이 1% 미만을 기록해 그동안 이어져온 증가세가 멈춘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회복 신호라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비교 가능한 274개 기업의 재고자산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2년 말 총 179조459억원이던 재고자산은 지난해 말 179조5968억원으로 0.3%(5509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들 기업의 재고 규모는 2021년 135조3015억원에서 이듬해 크게 뛰었다가 지난해에는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재고 범위는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제조중인 제품)의 재고자산이며 원재료와 저장품은 재고로 포함하지 않았다.
상품 재고는 26조3241억원에서 24조9734억원으로 1년 만에 5.1% 감소했다. 반면 제품 및 반제품 재고는 152조7218억원에서 154조6234억원으로 1.2% 증가했다.
재고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자동차 및 부품'으로 재고 금액이 22조9682억원에서 27조3839억원으로 4조4156억원(19.2%) 증가했다.
기업별로 현대자동차의 재고자산이 8조5902억원에서 11조2628억원으로 31.1%, 기아는 6조3845억원에서 8조3419억원으로 30.7% 각각 늘었다.
'조선 및 기계설비' 업종도 재고자산이 4조1833억원에서 4조8588억원으로 6754억원(16.1%) 늘었다. 한화오션(6887억원↑, 31.3%), 삼성중공업(1556억원↑, 9.9%),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08억원↑, 21.4%) 등에서 재고 증가세가 컸다.
재고자산을 가장 많이 줄인 업종은 석유화학이다. 중국 업계의 설비 신증설 영향으로 공급과잉에 시달린 석유화학은 가동률 조절로 재고 줄이기에 나선 결과 지난해 말 재고 규모가 29조3176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9383억 원(9.1%) 감소했다. 기업별로 LG화학이 1년 새 1조7886억원(24.8%) 줄고 한화솔루션도 4675억원(26.2%) 감소했다.
석화에 이어 2차전지 업종의 재고자산도 9조2952억원에서 8조6225억원으로 6727억원(7.2%) 줄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의 재고자산이 2022년 말 4조4051억원에서 지난해 말 3조3385억원으로 1조666억원(24.2%) 감소했다.
'IT전기전자' 업종의 재고자산은 2022년 말 51조1917억원에서 지난해 51조288억원으로 1623억원(0.3%). 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은 36조1097억원에서 36조7514억원으로 1년 새 6417억원(1.8%)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고 SK하이닉스는 3조8421억원에서 3조6021억원으로 2400억원(6.2%)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