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앙 총비서의 새 전용차가 포착됐다. 해당 차량은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추정된다. 사진은 김 총비서가 8~9일 전용열차를 타고 평안북도 의주군 수해 현장을 방문해 연설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스1
김정은 북한 노동앙 총비서의 새 전용차가 포착됐다. 해당 차량은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추정된다. 사진은 김 총비서가 8~9일 전용열차를 타고 평안북도 의주군 수해 현장을 방문해 연설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스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새 전용차가 포착됐다. 독일 벤츠 최고급 신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로 추정된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10일 김 총비서가 8~9일 전용열차를 타고 평안북도 의주군 수해 현장을 방문해 연설한 소식을 전했다.


김 총비서는 열차에 올라 연설했는데 열차 내부에 번호판 '7-271953'을 부착한 벤츠 SUV가 보였다. 번호판 숫자는 북한의 '전승절'인 1953년 7월 27일을 의미한다. 해당 차량은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추정된다. 국내에선 지난 4월 출시됐고 판매가는 2억7900만원부터다.

김 총비서는 지난 1월 조선중앙TV 기록영화 '위대한 전환, 승리와 변혁의 2023년'에서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을 타고 등장한 바 있다. 이후 새로운 벤츠 SUV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했을 당시 김 총비서와 함께 벤츠를 타고 평양을 드라이브하며 국제사회에 고급 승용차를 노출한 바 있다. 최근 북한 고위 간부들도공개행사에 벤츠를 타고 나타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외에도 김 총비서는 마이바흐 세단·리무진, 일본 도요타 렉서스 SUV 등의 고가 차량을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12월 채택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97호에 의해 사치품, 운송수단의 직·간접적인 대북 공급 및 판매, 이전은 금지됐다. 김 총비서를 포함한 북한 고위 간부들의 고급 자동차 사용은 대북 제재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