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A 타이거즈 홈경기가 열리는 날이면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인근 지역의 소비 매출액과 유동인구, 교통량이 크게 증가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는 지난해 9월과 10월 중 프로야구 경기가 있는 날과 없는 날을 비교 분석한 결과 경기 개최 시 임동 지역의 카드 소비 매출과 유동인구, 교통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실제로 임동 지역의 카드 소비 매출액은 경기가 열린 10일 동안 23억1000만원을 기록해 비경기일(17억원) 대비 35.9% 증가했다. 유동인구 역시 경기일 32만1000명으로 비경기일(21만2000명)보다 51.4% 늘었다. 교통량 또한 증가세를 보였다. KTX 광주송정역의 하차객 수는 경기일 12만582명으로 비경기일(10만8500명)보다 11.1% 증가했다.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의 시외버스 하차객 수도 경기일 9만4224명으로 비경기일(8만6496명)보다 8.9% 늘었다.
광주챔피언스필드 주변 14개 시내버스 정류장의 이용객 수는 경기일 4만5294명으로 비경기일(2만4431명) 대비 85% 급증했다. 숙박 부문에서는 치평동이 2억7200만원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어 광산구 우산동(4900만원), 충장동(4700만원) 순이었다.
광주시는 프로야구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바탕으로 '2025 광주 방문의 해'와 연계한 스포츠 관광 상품을 출시한다.
3월부터 판매될 '야구광 트립'은 경기 관람 전 광주의 주요 관광지를 방문하는 프로그램으로 동명동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무등산 등을 포함한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광주본부와 협력해 KTX 승차권과 숙박비 할인을 결합한 특별 상품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즌 중 광주관광 홍보부스 운영과 관광객 대상 특전 제공 등 다양한 스포츠 관광 활성화 프로그램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병철 시 기획조정실장은 "KIA 타이거즈 개막을 앞두고 프로야구 경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 효과가 확산될 수 있도록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스포츠와 관광 정책의 유기적인 결합이 이뤄지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