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정책으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마크 뤼터 NATO 사무총장을 만난 모습.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정책으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지난 14일(이하 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만약 예정대로 다음달 1일부터 새 관세율이 적용되면 "지금까지 강했던 미국 경제가 흔들릴 수 있다"며 특히 소비자와 기업에 파괴적인 충격을 불러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이번 관세 전쟁은 지난 2월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시작으로 3월 철강·알루미늄 관세, 4월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로 전면화했다. 그러나 이후 물가 상승률이 억제되고 실업률은 안정적이며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회복하는 등 미국 경제는 빠른 회복력을 보였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당장 경기 흐름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은 것은 기업들이 올 초 제품을 대량으로 사전 비축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기업들은 저가에 미리 쌓아둔 재고를 소진하는 동안 가격 인상 시점을 최대한 미루거나, 소비자들의 가격 충격을 줄이고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비용 상승분 일부를 스스로 흡수하는 전략을 취했다. 그 덕분에 최근 몇 달 동안 물가 상승률은 비교적 억제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노동통계국이 15일 발표할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에서 관세로 인한 가격 압력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경제 전문가들도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가 아직 시행되지 않아 무역 전쟁에 전체적인 영향을 가리고 있을 뿐 실제로 시행되면 그 영향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경고했다.

스티븐 블리츠 글로벌데이터 TS 롬바드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는 결국 기업 이익에 대한 세금"이라며 "어느 시점이 되면 기업들은 비축해 둔 물품을 소진하게 될 것이고 결국 더 높은 가격에 새로운 물품을 수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는 해당 분석에 반박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지난 14일 CNBC 인터뷰에서 "우리는 데이터에서 그런 현상을 보지 못했고 이미 충분히 시간이 지났다"고 말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과장됐으며 미국 기업과 소비자가 아닌 외국 생산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한 실제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