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등 다양한 신분증을 디지털 방식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게 됐다.사진은 네이버가 23일 네이버 앱에서 실물 신분증과 법적으로 동일하게 활용 가능한 '네이버 신분증'을 출시한 이미지.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등 다양한 신분증을 디지털 방식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게 됐다. '네이버 신분증'은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녀 주민센터 민원과 정부24 증명서 발급 등에서 실제 신분증처럼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는 23일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오픈 행사'에 참석해 네이버 앱 내에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하게 활용 가능한 네이버 신분증을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지원되는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등 총 4종이다. IC 신분증을 보유한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네이버 앱을 통해 온·오프라인에서 편리하게 신분을 증명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갤럭시 단말의 경우 원 UI 6.1 이상 기기에서 이용 가능하며 iOS 버전은 추후 출시 예정이다.

네이버 신분증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온라인 주류 구매 ▲카페·바이브 등 성인 인증 ▲주민센터 민원 ▲정부24 증명서 발급 ▲선거 투표 시 신원 확인 등 다양한 곳에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으로 사용 가능하다.

네이버는 2024년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보안·품질·성능 평가를 통과하며 '모바일 신분증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후 정부 개발 지침에 따라 1년간 서비스를 구축했으며 최근 행안부 지정 적합성 평가까지 마쳤다.


네이버 신분증은 단말기 보안 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며 생체 인증·비밀번호 등 복합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해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이나 정보 유출 위험이 낮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네이버에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총괄하는 황지희 리더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두루 갖춘 네이버 신분증이 디지털 인증의 대중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더 많은 신분증과 사용처를 지원하며 범용성과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는 주민등록등본, 예방접종증명서, 운전경력증명서 등 106종 문서를 발급·제출할 수 있는 '전자증명서' 서비스와 지방세 납부서·건강검진표·국민비서 알림 등 각종 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문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네이버 앱에서만 확인 가능했던 전자문서를 PC 및 모바일 웹에서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해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지난 21일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보를 전자문서 알림으로 제공하는 등 네이버는 디지털 행정 혁신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