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가 28일부터 환경 정보 통합 관리·분석시스템 '경기기후플랫폼'(climate.gg.go.kr) 서비스를 28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만든 고정밀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플랫폼이다. 2023년 12월 개발에 착수해 이달 월 완성했다.
경기기후플랫폼은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한다. 또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 현황지도,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등 공간정보를 비롯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기후재난 현황·위험지역 예측 등 방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경기도는 이 정보를 공공기관, 기업, 도민 모두에게 개방하여 '디지털 기후 거버넌스(민관협력)의 중심'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공공기관은 플랫폼의 정책 지원 정보시스템을 활용해 보다 과학적인 정책 수립이 가능해진다. 항공 LiDAR, 위성 영상 등 공간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산사태 취약 지구를 지정하고 재난 대책을 수립할 수 있으며, 탄소 흡·배출 관리 및 공간 기반의 태양광·탄소 정보를 통해 과학적 의사결정과 탄소중립 목표 이행 추적 관리도 할 수 있다.
기업은 기후경영서비스를 이용하면 전문 지식과 별도 투자 없이도 국제표준 기반의 탄소회계와 에너지경영서비스 지원받을 수 있다. 간단한 사업장 정보 등록만으로 데이터가 자동 입력돼 해당 기업의 탄소배출량과 에너지진단보고서를 즉각 제공한다.
도민들은 사용자 주변 기후위험 평가 결과를 등급화한 기후위기 정보, 탄소중립 현황 등 자발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체감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방문계획이 있는 지역을 찾아보면 해당 지역의 산사태 위험 등급 현황, 극한호우 위험등급, 폭염경보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밖에도 경기기후플랫폼에서는 탄소공간지도도 제공한다. 지역별로 단위면적당 연간 탄소배출량을 볼 수 있다. 건물지붕과 유휴부지 등 태양광 도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생에너지 도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실감할 수 있다.
경기도는 이날 도청에서 '경기기후플랫폼 개시 행사'를 열고, 경기연구원,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기후솔루션 등 기후·환경 전문가와 함께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행사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기후문제 해결의 선결 조건"이라며 "기후·에너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경기기후플랫폼이 최적의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기후종합진단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