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위원회가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서민금융·채무조정 이용자들이 각종 지원을 '몰라서 못 받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현장 의견을 반영한 제도 개선과 보완책 마련에 나선다.
금융위원회는 27일 오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 14층 대회의실에서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 현장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는 지난 11일 시행된 맞춤형 복합지원 사업의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애로사항과 개선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맞춤형 복합지원'은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상담 시 공공마이데이터로 확보한 이용자 정보를 토대로 이용자에게 맞춤형으로 다양한 분야의 지원 정책을 연계하는 서비스다. 시행 후 아직 한 달이 채 안됐으나 기존보다 빠르게 복합지원을 받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이번 간담회는 맞춤형 복합지원에 대한 간단한 소개 및 상담 시연 이후, 해당 서비스를 직접 이용해 본 이용자와 현장 상담직원의 의견을 듣는 순서로 진행됐다.
현장에 참석한 이용자들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신속하게 복지 연계를 비롯한 종합지원을 제공받은 경험을 공유하면서, 맞춤형 복합지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와 관계기관은 이번 현장간담회 때 제시된 현장의 어려움 중에서 즉각적인 해결이 가능한 사안들을 연내에 조치할 예정이다.
상담 과정 시 이용자가 복합지원 이용 필요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상담 예약자 대상 사전 안내 문자(알림톡)를 통해 복합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임을 안내하고 상담 대기 시간 중에는 복합지원 홍보영상 시청을 유도할 계획이다.
상담 종료 후에는 이용자에게 본인이 상담받은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를 비롯한 상담 결과 요약 문자(알림톡)를 송부해, 이용자가 향후 어떠한 기관에서 무슨 연락을 받을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예정이다.
또 소상공인 분야로 복합지원 범위 확장도 관련 기관들과 바로 협의를 시작해, 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소상공인 관련 기관(한국자산관리공사새출발기금 담당 등) 간 상호 안내 체계는 오는 10월 중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관계기관과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듣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