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성특례시가 내년 10월 개관을 앞둔 화성중앙도서관의 명칭을 '화성동탄중앙도서관'으로 변경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미 시민 공모를 통해 '화성중앙도서관'으로 확정하고 외벽 현판까지 부착했던 시의 갑작스러운 결정에 '특정 지역 표심을 의식한 행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두고 정명근 화성시장이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재선을 염두한 행보가 아니냐'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화성시는 지난 26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화성중앙도서관'의 명칭을 도서관의 위치와 동탄권역의 거점 정보를 반영한 '화성동탄중앙도서관'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명칭 변경 이유로 도서관의 역할과 위치를 보다 명확히 알리고, 동탄권역 거점도서관으로서의 상징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명칭 변경 설문조사를 실시해 주민 의견을 수렴했으며, 그 결과 응답자의 79.2%가 '화성동탄중앙도서관'으로의 명칭 변경에 긍정적으로 응답했다'는 자료까지 첨부했다.
하지만 본지 취재 결과, 화성시립도서관에는 권역별 거점도서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명칭 변경의 명분과 현실이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는 기존에 '화성중앙도서관'을 화성시립도서관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도서관으로 홍보하며 시민 공모를 진행했었다. 그러나 이번 변경으로 '동탄'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것처럼 인식될 수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당초 시민 공모 당시에도 동탄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왜 동탄이 빠졌느냐'는 불만이 제기됐고, 공모 결과가 나오자 결과 조작 의혹까지 불거졌었다.
갑작스러운 명칭 변경에 시민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미 설치된 현판을 철거하고 재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산 낭비에 대한 지적과 함께 '누구를 위한 명칭 변경인가'라는 불만도 터져 나오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시의 표심이 몰린 동탄 주민들의 눈치를 보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2026년 2월 개관을 앞둔 '화성문화예술의전당' 역시 '화성 동탄 예술의전당'으로 명칭을 변경하려 조례를 손보고 있다는 이야기도 솔솔 흘러 나온다.
이를 두고 시민 A씨는 "동탄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화성시는 패싱하고 '동탄시'로 부르고 있는 것 알고 있나"라고 반문한 뒤 "시 위에 군림하는 '동탄시민' 그리고 그들의 표심이 간절한 탐욕이 만들어 낸 촌극"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 다른 시민은 "시상금까지 걸어가며 명칭 공모는 뭐하러 했는지, 어차피 동탄주민 눈치보고 결정 뒤집을 것 같으면 처음부터 '화성동탄중앙도서관'으로 정했으면 이런 혼란을 주지 않을까 싶다"며 "이번 건이 좋지 않은 선례로 남는다면 앞으로 시민이 참여하는 투표나 정책광장 등의 결과를 시민이 수용할 수 있을까?"고 씁쓸해 했다.
그러면서 "명칭 변경은 수단과 과정, 방법이 정의롭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면서 "상식이 통하고, 상식적인 시정 운영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