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여당과의 비공개 회동에서 매수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점포 폐점을 보류하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유력한 후보자와 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고 협상이 완료될 경우 매수자가 점포 폐점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김 회장과 별도의 비공개 면담을 가진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김 회장이 15개 점포와 다른 점포에 대해서 매수자가 결정될 때까지 폐점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동석한 김남근 의원은 "(MBK 측은) 현재 매수 협상을 하고 있고 11월10일 전까지는 끝내야 한다고 했다"며 "매수되면 매수인이 폐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재무적 어려움이 있어서 몇 가지 조건이 이행돼야만 폐점을 안 할 수 있다고 한다"며 "조건 중 대기업 업체들의 물품 공급 문제가 해결돼야 하는 문제가 있어 이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얘기해 물품을 수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후 지난 8월22일 기업회생 과정에서 임대료 조정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를 추가로 폐점하기로 결정했다. 기업회생 전 폐점이 결정된 9개 점포를 포함하면 전체 점포(123개)의 19.5%가 문을 닫는 셈이다. 이번 회동으로 인해 15개 점포의 폐점 결정권은 매수자에게 넘어갔다.
이날 면담에 앞서 김 원내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홈플러스 대책 태스크포스(TF)는 홈플러스 노조 및 점포 노동자, 입점업주 대표 등과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와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 등이 참석했다. 홈플러스 사태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한 곳에 모인것은 지난 3월 기업회생 신청 이후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김 원내대표는 간담회에서 "단도직입적으로 폐점은 안 된다"라며 "폐점을 막으려면 MBK가 먼저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약속한 투자를 지키고 폐점이 아닌 정상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당내 TF를 구성하고 범정부 TF를 추진할 것"이라며 "MBK는 지금까지 사모펀드 수익만 챙기고 피해를 외면했다는 비판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노동자와 중소상공인을 거리로 내모는 이런 행위를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TF 단장을 맡은 유동수 의원도 "홈플러스 사태는 한 기업의 경영위기가 아니라 30만 국민의 생계 문제다. MBK의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며 "MBK 자구책 마련을 전제로 TF도 움직이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대원칙으로 홈플러스 인수 가능한 상태로 재정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병덕 의원은 "최근 MBK가 최대 주주로 있는 롯데카드에서 해킹 사태가 발생했는데, 이를 보면 정상적인 기업 운영을 하려는지 먹튀 자본 행태를 답습하려고 하는지 의구심 들 수밖에 없다"며 "MBK가 진정한 회생 의지를 보여야 함께 상생방안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이 홈플러스를 살리고 소비자의 신뢰를 되찾은 유일한 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