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팝 인기에 온라인을 중심으로 공연 암표 거래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전담할 인력과 대응 체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박수현(더불어민주당·충남 공주시부여군청양군)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받은 '공연분야 암표 신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암표 신고 건수는 2224건으로, 4년 새 6배이상 폭증했다.
공연 암표 신고는 2020년 359건이었지만 2022년 4224건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에는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까지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암표 티켓값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오는 31일 인천 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열리는 'NCT WISH(엔시티 위시)' 콘서트의 경우 정가 15만4000원의 시야제한 일반석 티켓이 최저 36만원에 거래되고 있었으며 VIP티켓의 경우 정가 19만8000원인 티켓이 800만원까지도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티켓의 부정 판매행위는 공연법 제4조에 따라 금지되고 있지만, 신고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예매업체 입장에서도 암표 거래를 실질적으로 입증하기가 어려워 단속마저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박 의원은 "암표 거래가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음에도 정부가 소극적 대응에 그치고 있다"며 "전담 인력을 확충하고 부정한 방법으로 예매한 후 웃돈을 받고 재판매하는 행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대응하는 등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