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선 양평군수가 14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특검 조사 후 숨진 단월면장 사건에 대한 입장과 대응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진선 양평군수가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정희철 단월면장의 사망에 대해 "공직자가 감내할 수 없는 너무나 큰 고통을 겪었다"고 밝히며, 해당 조사를 진행한 특검(특별검사) 측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전진선 군수는 이날 군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고인이 조사를 받았던 공흥지구 개발사업 건은 이미 오래전 수사가 이루어져 무혐의 불송치 결정이 된 사건"임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고인이 남기신 자필 메모에는 강압, 억압, 멸시, 회유 등의 단어들이 수없이 기록되어 있다"며, 고인이 겪은 심리적 고통의 심각성을 호소했다.


전 군수는 "고인 외에도 (공흥지구 개발사업과 관련해) 조사를 받고 있는 다수의 공직자들이 있다"며 "수사 대상 공무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고문변호사 지원 확대, 심리상담, 사법기관 조사 지원 등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는 "억울함을 호소할 통로조차 없이 스스로를 지켜야 했던 고인의 죽음 앞에서 우리 모두는 국가 제도의 역할을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양평군 공직자들이 부당한 압박 없이 본연의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지고 지키겠다"고 말했다.

이날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양평군지부(지부장 김종배, 이하 전공노 양평군지부)도 고인의 영결식 직후 입장문을 내고 특검을 공개 비판하고 나섰다.


전공노 양평군지부는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예 의혹 특검 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심리적 압박이 (고인 사망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음에도 특검 측은 강압적 조사 사실을 부인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특검의 대응을 비난했다.

노조 측은 이날 양평군을 포함한 모든 관계자에게 고인이 생전 제기한 강압적 조사 의혹을 철저히 규명할 것과 조사 절차의 공정성을 확보할 것, 공직자 보호를 위해 조사·감사 대상자를 위한 심리적 지원 체계 마련, 과도한 압박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김종배 전공노 양평군지부장은 "고인은 30년 넘게 공직에 헌신해온 청렴하고 성실한 공무원으로, 선·후배와 지역주민들의 깊은 신뢰와 존경을 받아왔다"며 "이번 사건은 특검 조사의 정당성과 인권보호 사이의 균형이 무너진 대표적 사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