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동일 주가 추이./사진=강지호 기자

불공정 투자 관행을 엄단하겠다고 밝힌 이재명 정부에서 처음으로 주가조작으로 적발된 DI동일에 대한 정부 및 정치권의 후속조치가 이뤄지지지 않아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국정감사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집중 추궁이 이뤄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DI동일은 회사도 피해자로 호소하지만 인위적으로 주가를 끌어 올린 것으로 여겨지는 투자자들은 1000억원대 시세조정 혐의를 받고 있다. 회사 관계자 및 투자자들이 국정감사 증인에 채택되지 않는 등 논의 대상에서 제외돼 주가 하락으로 피해를 입은 소액 투자들만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올해 국회 국정감사 증인 채택 명단에 DI동일 관계자 및 투자자는 제외됐다. DI동일 관계자는 "국정감사에 출석하라는 요청은 없었고 관련 논의도 없었다"며 "주가조작 대상이었다는 것도 언론을 통해 밝혀졌다"고 말했다. "정부 등에서도 회사에 주가조작 내용을 질의하거나 관련 내용을 통보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DI동일 주가조작 사건은 2024년 초 시세조종을 시작해 1년반 동안 이어온 것으로 전해진다. 그 기간 동안 DI동일 주가는 소액주주 분쟁 이슈 등이 불거지면서 2배 넘게 올랐다. 당시 소액주주 연대는 18%가 넘는 지분을 확보해 주주가치 제고 등을 명분으로 경영진을 압박했다. DI동일 오너가 지분은 24%에 불과한데 주가조작단도 이 점을 겨냥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가조작으로 소액주주 피해는 막심하다. DI동일은 소액주주 지분율이 50%에 육박한데 관계 기관이 수사 진행상황을 밝히지 않고 있어 DI동일 주가는 계속 떨어졌다. 지난 7월 출범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지난달 23일 사건을 적발하고 압수수색을 실시한 당시 3만6000원이 넘는 주가는 지난 14일 장중 최저가인 1만840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DI동일의 안일한 대응도 소액주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주가 하락과 관련해 "대책을 논의했지만 정해진 것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