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원 광주상의 회장(앞줄 왼쪽 네번째)과 이병훈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앞줄 왼쪽 다섯번째)등이 정책간담회를 가진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광주상의 제공.

광주지역 경제계가 광주 군공항 이전도 국가가 직접 책임지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광주상공회의소는 20일 3층 의원실에서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와 '지역 현안 해결과 상생 발전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광주 군공항 이전, AI 2단계(AX 실증밸리) 사업, 호남선 KTX 증편, 한국에너지공대 지원 등 지역 주요 현안들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정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광주상의는 "현행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은 지방자치단체가 신공항을 건설해 국방부에 기부하고 종전부지를 양여받는 '기부대양여' 방식을 규정하고 있으나 광주의 재정 여건상 현실적으로 추진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 가덕도 신공항처럼 전략적 필요성과 국가균형발전 명분이 있는 경우 정부 재정사업으로 추진된 선례가 있다"며 "광주 군공항 이전도 국가가 직접 책임지는 방식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국가 안보를 위해 반세기 이상 희생해 온 광주 시민들에게 이제는 국가 차원의 실질적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