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지난 4일(현지시각) 불법 자금 세탁과 관련된 추가 대북제재를 발표했다. 사진은 해커 관련 이미지.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추가 대북 제재를 발표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각) 사이버 범죄와 정보기술(IT) 노동자 사기 등 북한의 여러 불법적인 계획에서 유래한 자금 세탁에 관여한 혐의로 개인 8명과 기관 2곳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존 K. 헐리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해당 제재에 대해 "북한 지원을 받는 해커들은 북한에 핵무기 프로그램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자금을 훔치고 세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북한 무기 개발을 위한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미국과 세계 안보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며 "미 재무부는 북한의 불법적인 수입원을 차단하기 위해 계획 배후에 있는 조력자와 지원자들을 계속 추적할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 은행가인 장국철, 호종선은 이미 미국 제재 대상인 1신용은행을 대신해 530만달러(약 76억5320만원) 상당 암호화폐 등 자금을 관리한 혐의로 제재 명단에 올랐다. 미 재무부는 해당 자금 중 일부는 과거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과 IT 노동자 사기와 연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IT 업체인 조선만경대컴퓨터기술주식회사는 중국 선양과 단둥 등 최소 두 곳에서 IT 노동자 파견단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회사 대표인 유용수도 제재 명단에 등재됐다.


아울러 북한 금융기관인 류정신용은행,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북한 금융기관을 대표하고 있는 호영철, 한홍길, 정성혁, 채천범, 리진혁은 기존 대북 제재 우회 혐의로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다.

미 재무부 제재 대상이 되면 미국에서 경제 활동이나 미국과 관련된 모든 경제 활동이 사실상 막힌다. 제재 대상과 거래한 사실이 드러날 경우에도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 3일 선박 7척이 북한산 석탄과 철강을 불법으로 중국에 수출했다며 해당 선박들에 대한 유엔 제재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