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 땐 이미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80%에 달한다. 이 때문에 췌장암은 '침묵의 암' '최악의 암'이라 불리며 오는 20일이 '세계 췌장암의 날'로 지정돼 있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모든 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993~1995년 42.9%에서 2014~2018년 70.3%로 올랐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걸리는 위암은 44%에서 77%, 치료가 어렵다는 폐암도 12.5%에서 32.4%, 간암도 11.8%에서 37%로 올랐다. 하지만 췌장암의 생존율은 10.6%에서 2010년 8.5%로 떨어졌다가 2018년 12.6%, 2022년 16.5%로 나타났다. 국내 10대 암 중에서 가장 낮으며, 생존율도 다른 암에 비해 크게 오르지 않고 있다.
췌장은 소화기관 중 하나로 소화효소를 분비해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우리 몸의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호르몬을 분비한다. 췌장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십이지장과 가장 가깝게 붙어 있는 머리와 몸통, 그리고 꼬리로 이뤄져 있다. 이 중 췌장 머리 부분에서 암 발병률이 전체의 70%에 이른다.
위 뒤쪽 깊은 곳, 등 가까이에 있어 복부초음파로 발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여기에 췌장암을 의심할만한 결정적인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식욕 감소, 체중 감소, 복통 등 비특이적이어서 대부분 가볍게 넘긴다. 암이 생겨도 증상이 늦게 나타난다. 췌장 머리 쪽에 암이 생기면 담즙 배출이 막혀 황달이 생기고, 눈과 피부가 노랗게 변하며 소변이 진해진다. 몸통이나 꼬리 부위 암은 통증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췌장암은 췌장관의 점막세포에서 발생하며, 흡연자·만성 췌장염·당뇨병 환자·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특히 40대 이후 당뇨가 새로 생기거나 기존의 당뇨 조절이 갑자기 나빠진 경우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이진욱 좋은강안병원 소화기내과 과장은 "명치 부위의 불쾌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당뇨가 급격히 악화될 땐 췌장 전체를 들여다볼 수 있는 복부CT 검사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 췌장암은 혈액검사에서 간수치나 종양표지자(CA19-9) 상승으로 의심할 수 있으며, 영상검사로 진단한다. 영상으로 명확하지 않을 때는 내시경초음파(EUS) 검사가 도움이 된다. 간이나 폐 등 타 장기로의 전이가 없고 주변으로만 퍼진 상태라면 동맥 침범 정도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그러나 췌장암의 진행 정도가 심하면 항암화학요법으로 암 진행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를 병행한다.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한 보조 항암치료도 중요하다.
이 과장은 "EUS는 초음파가 장착된 특수 내시경으로 작은 병변까지 고해상도로 확인할 수 있어 조기 진단에 유용하다"고 말했다. 또 "췌장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위험군은 정기 검진을 통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며 "금연·절주·균형 잡힌 식습관 등 생활습관 관리가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