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숙 경북도의원이 제359회 정례회에서 도정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박영우 기자

김정숙 경북도의원이 경북 공직사회와 교육현장에서 반복되는 직장 내 괴롭힘과 학생 자살 문제를 강하게 지적하며 "이제는 조직과 제도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일침을 놨다.

김 의원은 6일 열린 제359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직장 내 괴롭힘은 단순한 개인 갈등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생존권을 침해하는 심각한 인권문제"라며 "피해자가 침묵을 강요받는 조직문화가 여전히 공직사회 곳곳에 남아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최근 4년간 도청 및 산하기관에서 접수된 182건의 괴롭힘 신고 중 인정된 사례가 8건뿐이라는 점을 들어 "대부분이 '증거 부족'이나 '단순 갈등'으로 종결되는 것은 제도의 실패"라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조직 내 70% 이상이 직·간접적으로 갑질을 경험했다는 조사결과는 경북 공직사회의 경고등"이라며 "부서장 평가에 괴롭힘 예방 실적을 반영하고, 시·군 단위 심의위원회를 의무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청렴도 점수가 하락하고 피해자가 2차 피해를 호소하는 현실에서 더 이상 캠페인식 대책은 의미가 없다"며 "경북형 통합 매뉴얼 구축과 중앙정부 연계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도교육청을 향해서도 학생 자살 예방정책의 근본적 재정비를 요구했다. 그는 "최근 3년간 경북에서 39명의 학생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며 "우울증, 가정문제, 학교성적 비관 등 다양한 원인에도 불구하고 대응은 여전히 사후 대책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