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홍열 고양시의회 '고양시데이터센터건립관련적정성여부에대한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특위 위원장이 5일 첫 사무조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고양시의회

고양시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해 세수 기여액이 연간 8억원에 불과해 경제적 실익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6일 고양시의회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특위)는 지난 5일 첫 사무조사를 실시하고, 데이터센터 건립의 타당성 검증에 착수했다.


특위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현재 고양시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 3개소의 2025년 기준 세수 기여액은 고양시 연간 세수의 불과 0.1% 수준인 약 8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위 위원들은 "수많은 주민 반대와 민원을 무릅쓰고 건립을 강행할 만큼의 세수 효과가 없다"며, 경제적 실익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조사에서는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행정 절차의 적절성 문제도 함께 논란이 됐다.


특히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일정이 임의로 앞당겨 진행된 점과, 현행 법률 및 조례를 위반하고 제2부시장이 위원장으로 임명된 절차의 적법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특위는 이에 대한 명확한 해명을 요구했다.

임홍열 특위 위원장은 "이러한 의문점들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양시에 데이터센터가 10개소나 건립됐거나 건립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은 심각한 문제"라며 "철저한 조사를 통해 시민의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고 행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센터특위는 위원장 임홍열 의원, 부위원장 김학영 의원을 비롯해 권용재, 김미수, 김해련, 송규근, 최규진 의원 등 총 7명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기간은 2026년 6월30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