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부산시장(앞줄 중앙)이 지난 21일 부산디자인진흥원에서 열린 보건의료 청년들과의 토크콘서트에서 참가자들과 퍼포먼스를 연출하고 있다. /사진=이채열 기자

부산시가 청년 보건의료인들과 직접 소통하며 미래 도시 전략의 핵심축으로 의료·바이오 혁신을 제시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21일 부산디자인진흥원에서 열린 'Medi Talk: 청년, 부산의 미래를 처방하다' 행사에서 "청년이 살리고 청년이 머무는 도시가 부산의 목표"라고 밝히며 청년 중심 미래 비전을 발표했다. 행사에는 약 200명의 보건의료 청년이 참석해 정책 토론을 진행했다.


박 시장은 "부산이 고령 도시라는 인식을 넘어서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가 돼야 한다"며 "수도권 집중 구조를 깨고 글로벌 해양·의료 도시로 도약할 때 국가균형발전 또한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청년 정착을 위한 핵심 조건으로 △양질의 일자리 △안정적 주거 △다채로운 문화 생태계를 제시했다. 특히 의료·헬스·의료관광·바이오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청년 일자리의 폭발적 확대를 이루겠다는 청사진도 밝혔다.

박 시장은 "2027년 완공 예정인 중입자 가속기와 양성자치료 시설을 기반으로 부산을 세계 최고 수준 암 치료 중심지이자 의료기술 연구·의료관광·바이오 기업이 집결하는 고부가가치 산업 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청년 주거정책도 구체화하며 2030년까지 2만호 규모의 청년 혜택주택 공급과 하루 1000원 수준의 생활비로 거주 가능한 새로운 청년 모델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문화·관광 경쟁력 강화 구상도 내놓았다. 박 시장은 "도시는 재미가 있어야 사람이 남는다"며 24시간 문화 인프라 확충과 청년 콘텐츠 산업 육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청문시답(청년이 묻고 시장이 답하다)'에서는 현장의 질문이 쏟아졌다. 물리치료사 교육 체계 개선 요구에 지역 전문교육 시스템 개편 검토를 약속했고 간호학과 학생이 제기한 서울·부산 의료격차 문제에는 "굳이 서울로 가지 않아도 되는 의료도시를 만들겠다"고 답했다. 보건 IT 전공 청년이 제안한 '청년 주도 헬스케어 정책 플랫폼' 구축 요청에는 의료·헬스 정책 연구 기능의 청년 거버넌스 신설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이번 소통을 계기로 청년 보건의료인들과 정례 협의체를 구성해 의료·바이오 혁신과 청년 정책을 연계하는 미래 도시 전략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