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연구개발을 위해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향후 코로나19 백신을 연례접종하게 되면 재정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사진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사진=로이터
정부가 국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연구개발을 위해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향후 코로나19 백신을 연례접종하게 되면 재정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사진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사진=로이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엔데믹(풍토병화)으로 접어들었지만 국산 코로나19 백신 연구개발은 지속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1일 국내외 제약·바이오 정책 및 제도 등 주요 이슈를 조사·분석한 보고서 '글로벌 이슈 파노라마'에서 향후 독감처럼 코로나19 백신에 대해서도 연례접종이 시행될 경우를 대비해 정부가 경쟁력을 갖춘 코로나19 백신 제품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임상지원 등 연구개발 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2가 백신·계절성 인플루엔자와 콤보백신 개발 등을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주장은 화이자와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 1회 접종 가격을 최대 16만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서다. 코로나19 백신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에서는 백신 구매에 재정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1년 해외 코로나19 백신 구매 비용은 1도스(1회 접종분)당 평균 2만5044원으로 총 3조8067억원을 사용했다.


현재 국산 코로나19 백신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원 하나뿐인데 이는 합성항원 방식으로 제조한 초기접종용 단가백신이다. 오미크론 변이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개량 백신은 현재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뿐이다. 국내에서는 에스티팜, 아이진, 큐라티스 등이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지난해 mRNA 백신 임상 시험 지원 예산은 105억원에 불과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 3상 시험 비용에 1000억~2000억원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반면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이 나온 미국 정부는 코로나 mRNA 백신 개발과 관련해 연구, 생산, 구매 등 직·간접적으로 319억달러(41조원) 이상을 지원했다. 이 중 3억3700만달러(4300억원)은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이전에 투자한 금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