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월드컵이 3대륙, 6개국에서 열리는 것으로 결정됐다. 사진은 지난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 주장 리오넬 메시가  환호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2030 월드컵이 3대륙, 6개국에서 열리는 것으로 결정됐다. 사진은 지난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 주장 리오넬 메시가 환호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2030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이 3개 대륙, 6개국에서 개최된다.

지안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5일 오전(한국시각)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에서 개최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하지만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 남미 3개국에서도 일부 경기가 열린다. 즉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3대륙, 6개국에서 열리는 셈이다.


2030년 대회는 지난 1930년 제1회 월드컵이 열린지 100년째 되는 해다. 이를 기념해 FIFA는 종전의 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월드컵을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판티노 회장은 "분열된 세계에서 FIFA와 축구가 하나가 됐다"며 FIFA 평의회로부터 동의를 받았다는 사실도 발표했다.

원년 월드컵은 우루과이에서 열렸다. 이에 따라 개막전을 비롯한 초반 몇몇 경기는 우루과이를 비롯한 남미 대륙에서 열린다. 이후 무대를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로 옮겨 대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다만 남미에서 경기를 치르는 팀은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만큼 형평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큰 틀에서는 일정이 확정됐지만 아직 세부적인 경기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세부 일정은 내년에 열리는 FIFA 평의회를 통해 확정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 같은 FIFA의 결정에 적지 않은 팬들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에 근거를 둔 유럽 축구팬 연합(FSE)은 트위터(현 X)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축구는 이제 종말이다"라고 선언하며 "팬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대륙별 로테이션 개최도 무시한 결정"이라며 2030년 대회 방식에 대해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