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광주·전남지역 수출은 크게 부진하고 투자도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민간소비는 둔화되고 가계 재무건전성은 악화됐다.

22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내놓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지역경제 비교 및 시사점’에 따르면 광주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지난 2003~2007년 36.4%에서 2011~2016년 4.5%로 대폭 하락하고 전남은 감소(48.4%→-1.4%)로 전환됐다.

특히 전남의 수출 감소폭(-49.8%포인트)은 지자체 가운데 전북(-52.1%포인트)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광주는 자동차·반도체의 증가율이 축소되고 가전제품과 타이어는 마이너스로 전환됐으며 전남은 철강제품과 선박의 증가율이 낮아지고 석유화학·석유제품 등은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수출지역별로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이 둔화된 가운데 광주는 북미와 유럽, 전남은 아시아로의 수출이 크게 축소됐다.  

광주는 자동차, 가전제품의 주요 수출처인 북미와 유럽의 경기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로 해당 지역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위축됐다.

전남은 주력 수출품목인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중국의 자급률 상승 등으로 아시아로의 수출이 가장 크게 축소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수출이 부진함에 따라 투자도 위축됐다. 광주의 연평균 설비투자 증가율은 2003~2007년 9.0%에서 2011~2015년 2.1%, 전남은 12.5%에서 4.1%로 크게 둔화됐다. 광주의 설비투자 둔화폭(-6.9%포인트)은 광역시 가운데 가장 크고 전남의 둔화폭(-8.4%포인트)도 광역도 가운데 전북(-10.8%포인트)에 이어 두번째로 큰 수준(전국 : -3.2%포인트)이었다.

광주의 연평균 건설투자 증가율은 2003~2007년 8.1%에서 2011~2015년 4.8%로 둔화되고 전남은 마이너스로 전환(4.8%→-2.4%)됐다.

광주의 건설투자 둔화폭(-3.3%포인트)은 광역시 평균(3.1%포인트)과 비슷한 반면 전남의 둔화폭(-7.2%포인트)은 광역도 가운데 충북(-10.0%포인트)에 이어 두번째로 큰 수준(전국 -1.7%포인트)이었다.

광주의 연평균 건설투자 증가율은 2003~2007년 8.1%에서 2011~2015년 4.8%로 둔화되고 전남은 마이너스로 전환(4.8%→-2.4%)됐다. 광주의 건설투자 둔화폭(-3.3%포인트)은 광역시 평균(3.1%포인트)과 비슷한 반면 전남의 둔화폭(-7.2%포인트)은 광역도 가운데 충북(-10.0%포인트)에 이어 두번째로 큰 수준(전국 : -1.7%포인트)이었다. 

민간 소비도 침체됐다. 광주의 연평균 소비증가율은 2005~2007년 4.4%에서 2011~2015년 2.4%로 하락, 전남은 2.5%에서 2.7%로 소폭 상승(전국은 4.9%에서 2.2%로 둔화)했다.

전남의 증가폭 확대는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공공기관 이전, 2012년 여수 엑스포 등 대규모 행사 개최 등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2016년 이후에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소비 둔화 속도가 빨라지는 모습이다. 

가계대출은 전국과는 달리 상승곡선을 그렸다. 전국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2004~2007년 연평균 10.8%에서 2011~2016년 7.2%로 낮아졌으나 광주·전남지역은 증가율이 7.9%에서 11.4%로 확대됨에 따라 지난해 말 광주·전남지역 예금은행의 가계대출규모(18조6000억원)는 2003년말(8조1000억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광주·전남 모두 둔화됨에 따라 광주와 전남 모두 처분가능소득 대비 예금은행 가계대출 비중이 상승하고 이 비중의 상승폭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지섭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과장조사역은 “중국·미국 등 기존 수출처 외에 최근 경제가 성장하는 인도, 동남아시아 등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수출처를 다변화하고 농수산물 등 지역 특산물을 수출지역의 기호에 맞게 상품화해 수출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소비·투자 등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가계의 소득수준 증가를 통한 내수기반 확충이 필요하고 연준의 금리인상이 시장의 예상보다 빨라지면 국내금리도 급격히 상승할 우려가 있어 지역 가계와 기업들의 재무건전성 관리와 금융기관의 적절한 대출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