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제지역 희망지사업 20곳 위치도. /사진=서울시 |
그동안 총 30개 지역, 15개 자치구에서 신청했으며 사업대상지는 도시‧건축, 인문‧사회‧문화 분야 등 7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서류 및 발표심사를 거쳐 선정됐다.
심사기준은 ▲지역쇠퇴도 ▲사업추진 필요성 및 시급성 ▲목표 및 기대효과 ▲실현가능성 ▲부동산 부작용 대응 등이다. 특히 재생이 시급한 지역으로 주민모임 형성 및 공동체 활성화 등 주민 주도의 재생추진 가능성에도 방점이 찍혔다.
서울시는 이번에 선정 안 된 지역 중 재생을 추진하고자 하는 경우 자치구와 함께 지역별 특성 및 여건을 고려해 지역에 맞는 재생방안을 지속 모색할 계획이다.
선정된 지역은 사업기간 동안 주민모임 공간마련, 도시재생 교육 및 홍보, 주민공모사업, 활동가 파견 등 주민 스스로 노후주거지를 재생할 수 있도록 주민역량강화사업을 시행하며 해제지역별로 최대 3500만원의 사업비와 인력이 지원된다.
아직 갈등이 남은 해제지역의 주민통합을 위해서는 권역별로 갈등관리자를 파견해 주민프로그램, 워크숍 등을 추진하고 선정된 지역별로 현장거점(상담실)을 마련해 집수리 비용 융자, 소규모정비사업 등 마을건축사의 정기적인 상담도 진행할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해제지역 맞춤형 희망지사업을 통해 노후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지역공동체가 되살아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노후한 해제지역이 주민 중심, 주민주도의 재생사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맞춤형 희망지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