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금리 추가인상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올해 말 기준금리가 1.75~2%에 이를 것이라는 시장 전망과 관련해 "한은의 예상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주열 총재는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1.25% 수준으로 동결했다. 특히 이번 동결 결정은 7명의 금통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이주열 총재는 이번 회의를 마지막으로 다음달 임기가 끝나지만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시장이 기준금리를 예상할 때 올해 성장세와 물가 전망, 주요국의 통화정책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데 한은의 예상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본다"며 "시장의 기대가 합리적인 경제 전망을 토대로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선 한국은행이 두세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해 올 연말 기준금리가 1.75~2.0%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총재는 "만일 시장의 기대가 한은과 괴리가 나타난다면 소통에 나설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기준금리를 한차례 더 올려 1.5%가 되는 것을 긴축으로 볼 수 없다"며 "성장 흐름이 한은의 예상대로 가고 물가 오름세도 높다면 지속적으로 완화정도를 줄여 나가야 한다는 것이 금통위원 다수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총재는 한국이 기축통화국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과 관련해 "이는 사실상 이미 정치 이슈가 됐는데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경기 둔화 속 물가가 급등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와 관련해 이 총재는 "현재 국내 경제 상황을 보면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단언했다.

이어 그는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최근 물가 오름세가 높지만 (경제)성장 흐름을 보면 수출 호조, 소비의 기조적 회복에 힘입어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잠재 수준을 웃도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