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버스 탑승 거리에 따라 추가요금을 부과하는 '거리비례 운임제' 도입을 추진한다.
8일 서울시는 서울시의회에 이런 내용이 담긴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조정 계획안에 대한 의견청취안'을 지난 6일 제출했다고 밝혔다. 버스 기본요금 인상과 요금체계 개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버스 기본요금을 300~700원 인상하고 요금체계는 현행 균일요금제에서 거리비례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다만 마을버스는 균일요금제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의견청취안에 따르면 간선·지선버스는 10~30km 추가되면 5km마다 15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광역버스는 30~60km 추가 거리에 5km당 150원을 내고 60km를 초과할 경우 150원의 요금이 더해진다. 심야버스는 30∼60㎞ 구간에서 5㎞마다 140원, 60㎞ 초과할 땐 150원의 추가요금이 매겨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2004년 대중교통 환승할인제 도입으로 시민이 편리하고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으나 운송기관은 환승손실금 증가로 적자가 가중됐다"며 "대중교통 기관의 자구노력과 서울시 재정 지원만으로는 적자를 해소하는 데 한계점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대중교통 요금은 8년째 상승 없이 유지되고 있다. 지난해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적자 규모는 6300억원, 버스업계는 6582억원으로 추정된다. 요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물가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적자 규모를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대중교통 요금 개편안이 변동될 가능성도 있다. 서울시 도시교통실은 시민의 의견을 듣기 위해 오는 10일 '2023년 대중교통 요금체계 개편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공청회는 시민단체와 시의원, 교수, 업계 대표, 공무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