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는 최근 '사무관리비 예산의 사적 사용 문제 제기' 보도와 관련해 "엄중하게 받아들인다"며 "현재 고강도 전수 조사를 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관련기사 본보 3월 24일자- '사무관리비' 명품넥타이 등 사적물품구입의혹...전남도 감사 착수>
전남도 감사관실에서는 각 실국, 실과별 전수 조사해 사무관리비 사적이용, 공금유용 여부 등을 철저하게 파악할 계획이다.
감사 결과 드러난 문제에 대해서는 절차에 따른 징계를 하고 향후 발생 예방을 위해 제도 개선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청사 내 매점을 통한 온라인 마켓 구매대행을 이미 중지했으며 투명한 물품구매를 위해 제도적인 보완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조만간 회계질서 확립을 위해 전 직원 반부패·청렴 교육을 실시하고 일상 경비 검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박현식 도 자치행정국장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 모범을 보여야 할 공무원이 도민에게 심려를 끼쳐드려서 죄송하다"며 "예산 사용의 적정여부, 공직기강을 다잡는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
앞서 전남도 감사관실은 소속 공무원 A씨가 사무관리비를 사적 용도로 사용했다는 제보를 받고 감사를 벌이고 있다. 전남도 감사관실은 A씨가 사무관리비로 구매한 물품을 확인하고 있다.
사무관리비에는 일반수용비, 위탁교육비, 운영수당, 피복비, 급량비, 임차료 등으로 대부분 행정업무에 사용하도록 책정돼 있다.
전남도 소속 공무원들은 청사 1층 매점에서 사무용 비품 등 소모품을 주로 구입해 사용 중이다. 다만 매점에 구비되지 않은 물품은 특정 인터넷쇼핑몰 계정을 이용해 구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 부서의 경리업무를 맡은 서무 담당자들이 쇼핑몰 장바구니에 물건을 담아두면 매점이 대신 결제한다. 이렇게 구매하는 과정에서 수수료가 19% 청구되고 이는 전남도청 공무원노조의 수입으로 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전남도청공무원노조는 26일 낸 성명에서 "매점에서 나오는 수익금의 절반 이상은 홀로 어르신들을 위한 복지물품,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기 지급하는 장학금, 복지시설에 있는 어린이를 위한 문화공연 등 사회 환원으로 사용된다"며 "최근에는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혜 돕기 성금으로도 쓰였다"고 밝혔다.
이어 "쇼핑몰 판매 수수료 19%는 상품 매출로 인해 발생하는 부가가치세 10%, 소득세 3%, 인건비, 임대료 등의 판매 비용이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