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한금융그룹
/사진=신한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대응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신한금융은 2025년부터 시행되는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의 ESG 데이터 공시 의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데이터의 최신화와 정확성 확보를 위해 이번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ESG 데이터 플랫폼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ESG금융의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됐다. 각 항목별로 ESG 규제와 평가기관,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또 국제회계기준(IFRS)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일반요구사항(S1)과 기후관련공시(S2) 상의 데이터 항목을 포함했다. 신한금융지주의 15개 자회사와 손자회사의 ESG 데이터를 모두 반영하는 등 향후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한 ESG 데이터 공시 도입을 선제적으로 감안한 시스템이다.

해당 플랫폼은 신한금융이 지난해 3월 금융회사 자산포트폴리오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과도 연결된다. IFRS 기후관련공시(S2)에서 요구하는 금융배출량 공시와 탄소 관련 자산 영향도 파악을 위한 적시성 있는 대응 체계를 갖췄다는 설명이다.


신한금융은 이번 데이터 플랫폼 구축으로 최신화한 ESG 데이터를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향후 ESG 보고서와 각종 공시를 통해 ESG 관련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이번 데이터 플랫폼 구축은 ESG 공시 체계 확립을 위한 업계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며 "향후 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과제 수행과 커뮤니케이션 확대로 진정성 있고 투명한 ESG 실천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