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활성화 운동'
중거리 달리기가 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화제다.
미국 뉴욕타임즈는 17일(현지시간) 중거리 달리기가 뇌 활성화에 가장 도움이 되는 운동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해당 연구는 핀란드 유배스큘래대 외 몇 개 연구기관이 함께 실시했다. 연구진들은 거대한 성인 쥐를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새로운 뇌 세포를 표시하는 물질을 쥐에게 주입하고 실험 집단을 분류했다. 한 그룹은 운동을 하지 않도록 조작했고 나머지 쥐들은 운동 종류에 따라 분류했다.
각 집단은 동물 우리 속에서 쳇바퀴를 뛰는 집단, 매일 몇 km씩 조깅을 한 집단, 고강도 인터벌 운동을 실시한 집단 등으로 나뉘었다. 꼬리에 작은 추를 단 채로 벽을 등반하도록 한 실험 집단은 실험을 거부하기도 했다.
실험 시작 7주 후 연구진은 각 쥐의 해마로부터 뇌 조직을 미세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운동별로 신경세포 생성력이 다르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우선 바퀴 위에서 조깅을 한 설치류는 매우 강한 신경 생성력을 보였다. 이들의 해마 조직은 운동을 하지 않은 동물들보다 새로운 뉴런이 더 많이 발견됐다. 또한 더 많은 거리를 뛴 쥐일수록 뇌 세포가 더 많이 발견됐다.
고강도 인터벌 운동을 한 쥐들의 새 뉴런은 이들보다 훨씬 적게 나타났다. 물론 아예 운동을 하지 않은 집단보다는 뉴런이 더 생성됐지만 중거리를 뛴 집단보다는 뉴런 생성력이 낮았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 집단에서는 별 다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의 해마 조직은 전혀 운동을 하지 않은 동물처럼 보였다.
중거리 달리기 외에도 뇌를 활성화하는 운동으로 스트레칭, 운동, 고개를 좌우로 흔들며 뇌에 자극주기 등이 있다. 또한 '껌 씹기'도 도움이 된다. '껌 씹기'는 해마를 활성화시켜 공간 인지능력을 개선하고, 뇌경색을 예방해 인지증을 예방해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