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통화스와프. 미래세대가세우는평화의소녀상추진위원회가 지난달 28일 부산 동구 주한 일본총영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기습 설치한 가운데, 한 시민이 소녀상의 손을 잡아 주고 있다. /사진=뉴스1
한일 통화스와프. 미래세대가세우는평화의소녀상추진위원회가 지난달 28일 부산 동구 주한 일본총영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기습 설치한 가운데, 한 시민이 소녀상의 손을 잡아 주고 있다. /사진=뉴스1

기획재정부는 오늘(6일) 일본 정부가 부산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며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 중단을 선언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날 "일본 재무성이 11시쯤 전 주일 한국대사관을 통해 이 같은 협상 중단 방침을 전달했다"며 "일단 기본적 상황 전개를 지켜본다는 게 공식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소녀상의 경우 외교부가 논의할 문제로 기재부가 간여할 사안은 아니다"라며 "통화스와프는 파트너가 있는 협상인 만큼 일본 측의 입장 발표로 사실상 어려워진 것 같다"고 전했다.


정부 역시 일본 정부가 부산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며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를 일시 귀국시킨 데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정부는 이날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일본 정부가 주한 일본총영사관 앞 소녀상과 관련해 금일 각의에서 결정한 조치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양국 간 어려운 문제가 있더라도 양국 정부 간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한일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앞서 NHK 등에 따르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일본총영사관 앞에 위안부 문제를 상징하는 소녀상이 설치된 것은 유감"이라며 통화스와프 협상 중단,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 일시 귀국 등 조치를 취했다.

한편 미래세대가세우는평화의소녀상추진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부산 동구 주한 일본총영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했다. 일본 정부는 소녀상 설치는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위배된다며, 연일 철거를 요구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