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소년. 오늘(27일) 오전 대구 달서구 와룡산 자락 세방골에서 열린 '개구리소년 26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유가족과 시민단체 등이 천도제를 올리고 있다. /사진=뉴스1
개구리 소년. 오늘(27일) 오전 대구 달서구 와룡산 자락 세방골에서 열린 '개구리소년 26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유가족과 시민단체 등이 천도제를 올리고 있다. /사진=뉴스1

개구리 소년 26주기 추도식이 열렸다. 오늘(27일) 대구 달서구 와룡산 세방골에서 '개구리 소년' 26주기 추도식이 열렸다. 유가족을 비롯한 개구리소년 26주기 추도식 참석자들은 이날 26년 전 마을 뒷산에 올라갔다 살해된 개구리소년들의 넋을 위로하며 "포기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개구리 소년' 26주기 추모식에는 우철원군의 아버지 우종우씨(66) 등 유가족과 전국미아·실종가족찾기 시민모임(전미찾모) 나주봉 회장, 용남사 승려 등 10여명이 참석해 개구리소년들의 유골이 발견된 대구 달서구 용산동 새방골에서 위령제를 올렸다.

유가족을 대신해 추도사를 읽은 나주봉 회장은 "최근 세월호 희생자들을 돌아보며 너무 가슴이 아팠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부러웠다. 전 국민이 위로를 해 주는데 우리 아이들은 아무 지원도 없이 잊혀져 가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아이들의 진실을 밝혀달라. 우리 아이들이 이렇게 잊혀지는 게 너무 허무하고 가슴 아프다"고 호소했다.

한편 1991년 우철원(당시 13세)·조호연(당시 12세)·김영규(당시 11세)·박찬인(당시 10세)·김종식(당시 9세)군 등 같은 동네에 살던 5명의 어린이가 대구 달서구 와룡산에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고 나갔다가 실종됐다.

실종 11년 만인 2002년 9월 대구 달서구 용산동 성산고교 신축공사장 뒤 와룡산 중턱에서 4구의 유골과 신발 5켤레가 발견됐으며, 경찰은 부검을 통해 이들이 살해된 것으로 결론을 내렸으나 끝내 범인을 밝히지 못한채 영구 미제사건으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