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진=뉴스1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4일 국내 생리용품 사용 현황을 발표하고 제품 종류별 사용 요령 등 올바른 생리용품 사용을 위한 안전 정보를 제공했다.
생리용품은 생리혈 처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의약외품 허가를 받아 판매되고 있다. 종류로는 일회용·다회용 생리대, 탐폰, 생리컵 등이 있다.
식약처가 10~60세 가임 여성 1028명을 대상으로 조사(중복 사용자 217명)한 결과 '일회용 생리대'가 80.9%로 가장 많았고 '탐폰' 10.7%, '다회용 생리대' 7.1%, '생리컵' 1.4% 순으로 집계됐다.
생리용품 구매·사용 시 고려 요소는 △사용 편리성(36.4%) △안전성(27.8%) △기능성(26.0%) △경제성(9.7%) 등으로 드러났다.
생리용품 구입 시 원료명·주의사항 등 제품 정보 확인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반드시 확인한다'가 7.7%로 가장 많았고 '가급적 확인한다' 37.7%, '전혀 확인하지 않는다' 7.7%, '별로 확인하지 않는다' 46.8% 순으로 집계됐다.
다회용 생리대는 세탁해 재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므로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사용 후 가능한 한 빨리 세탁하고 완전 건조해야 한다. 제품 세탁을 위해 장시간 삶으면 제품의 외부 방수천이 손상돼 제품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10분 이내로 삶는 등 주의해 관리하는 것이 좋다.
탐폰은 여성 질 내에서 생리혈을 직접 흡수하는 제품으로 사용 전 손을 깨끗이 씻고 삽입 후 제거용 실을 자르지 말고 일부가 몸 밖으로 나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통증이나 이물감이 느껴지면 즉시 제거하고 새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다른 종류의 생리용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식약처가 10~60세 가임 여성 1028명을 대상으로 조사(중복 사용자 217명)한 결과 '일회용 생리대'가 80.9%로 가장 많았고 '탐폰' 10.7%, '다회용 생리대' 7.1%, '생리컵' 1.4% 순으로 집계됐다.
생리용품 구매·사용 시 고려 요소는 △사용 편리성(36.4%) △안전성(27.8%) △기능성(26.0%) △경제성(9.7%) 등으로 드러났다.
생리용품 구입 시 원료명·주의사항 등 제품 정보 확인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반드시 확인한다'가 7.7%로 가장 많았고 '가급적 확인한다' 37.7%, '전혀 확인하지 않는다' 7.7%, '별로 확인하지 않는다' 46.8% 순으로 집계됐다.
식약처는 생리용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생리 양과 활동량 등 개인 특성을 고려할 것을 조언했다. 일회용 생리대는 생리 시 피부가 약해지고 습한 상태가 지속돼 장시간 사용하면 통풍이 잘 되지 않아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생리 양이 많은 날을 기준으로 2~3시간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다.
다회용 생리대는 세탁해 재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므로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사용 후 가능한 한 빨리 세탁하고 완전 건조해야 한다. 제품 세탁을 위해 장시간 삶으면 제품의 외부 방수천이 손상돼 제품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10분 이내로 삶는 등 주의해 관리하는 것이 좋다.
탐폰은 여성 질 내에서 생리혈을 직접 흡수하는 제품으로 사용 전 손을 깨끗이 씻고 삽입 후 제거용 실을 자르지 말고 일부가 몸 밖으로 나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통증이나 이물감이 느껴지면 즉시 제거하고 새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다른 종류의 생리용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