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선희 어버이연합 사무총장./사진=뉴스1DB |
국정원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이날 오후 2시 추 전 총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다시 불렀다.
추 전 총장은 전날 검찰에 나와 11시간 넘게 조사를 받으면서 국정원의 시위 제안이나 지원금을 받은 적이 전혀 없다며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하지만 그는 22일 재소환돼 2010~2011년 죽전휴게소에서 자신에게 후원금을 건넨 것이 국정원 직원이었다고 밝혔다. 추 전 총장은 국정원 직원에게 10여회에 걸쳐 200만~300만원 가량을 받았다.
추 전 총장은 문제의 남성이 국정원 심리전단의 댓글 활동 총책임자인 민병주 전 단장이었다고 진술했다. 하지만 돈을 받을 당시에는 그가 국정원 직원인지 알지 못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 전 총장은 국정원 직원이 돈을 주면서 "댓글 공작에 참여해 달라는 주문 등은 없었고 어른들(어버이연합 회원들)을 돕고 싶다고만 했다"고 진술했다.
민 전 단장은 국정원 민간인 댓글부대 사이버 외곽팀 운영의 핵심 간부로 이미 구속됐다.
이어 그는 어버이연합이 중소기업 등의 자발적 후원으로 운영됐다며 관련 의혹 등은 문건 해석의 차이로 생긴 오해라고 말했다.
추 전 사무총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 집권 시기인 2011년 11월 우익단체와 함께 국정원 심리전단의 지원을 받아 당시 취임 초기였던 박원순 시장을 반대하는 가두집회를 연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9일 박원순 서울시장과 서울시는 추 전 총장을 국정원법 위반 및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소·고발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씨에 대한 추가 조사나 구속영장 청구 등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