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크래들 직원들이 실리콘밸리 한 스타트업이 개발한 '센서를 통한 운전 중 생체리듬 측정 기술'을 평가하고, 검증하고 있는 모습.
현대 크래들 직원들이 실리콘밸리 한 스타트업이 개발한 '센서를 통한 운전 중 생체리듬 측정 기술'을 평가하고, 검증하고 있는 모습.

현대차그룹은 실리콘밸리 기존 사무소인 ‘현대벤처스’의 위상과 기능을 확대 개편한 현대 크래들을 오픈한다고 15일 밝혔다.

현대 크래들은 AI(인공지능), 모빌리티,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로봇 등 미래 핵심분야의 혁신을 리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로봇 영역과 미래 모빌리티 융합 시너지에 주목하고 신 비즈니스 창출도 모색한다.
동시에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발굴, 투자, 공동개발은 물론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실리콘밸리 현지 진출을 지원한다. 현대 크래들은 단순히 실리콘밸리의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의 역할에 국한되지 않고 현대차그룹이 추진하는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네트워크의 허브로 기능하게 된다.

실리콘밸리는 전세계 혁신 도시 중에서도 AI(인공지능), 자율주행 분야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기업이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지역이다.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을 비롯 AI,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로봇 등 미래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자동차 분야와의 시너지 및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 크래들은 현대차그룹의 미래 선행 개발 기술의 최전선이자 한국과 실리콘밸리의 가교로서 혁신적인 스타트업들과 전략적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며 “인간의 능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로봇 요소 기술들을 활용해 차량개발에 국한되지 않고 사람의 삶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활동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 크래들을 시작으로 이스라엘을 비롯해 미래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 지는 글로벌 혁신 거점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현대차그룹 혁신 업무의 최전선으로, 각 거점별 혁신 기업들과의 협업 및 연구 개발 업무를 추진하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치열한 미래 모빌리티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잠재력 있는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 신규 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현대 크래들이 전세계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간 수평적 네트워크의 중심축으로 역할을 맡는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에서 '제 2회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을 개최했다. 현대 크래들의 전신인 ‘현대벤처스’와 버클리 대학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기관인 '더 하우스(The House)'가 공동 주최하는 포럼으로, 실리콘밸리 모빌리티 전문가 및 관련 스타트업들이 참여해 미래 모빌리티를 주제로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자리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