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올레드 TV 씽큐’, ‘슈퍼 울트라HD TV 씽큐’ 등 2018년형 ‘씽큐 TV’를 CES 2018에서 공개한다. / 사진=LG전자 |
‘LG 씽큐 TV’는 독자 인공지능 플랫폼인 ‘딥씽큐’와 구글의 인공지능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해 더욱 편리하고 다채로운 TV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LG 씽큐 TV는 자연어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해 화면모드 변경,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 다양한 TV 기능을 손쉽게 제어하고 TV와 사운드바,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 등 다른 기기와도 간편하게 연결한다.
매직리모컨의 음성인식 버튼을 누른 뒤 음성만으로 TV를 제어할 수 있다. “스칼렛 요한슨이 나오는 영화 찾아줘”라고 하면 TV 프로그램, VOD서비스, 유튜브 등에서 관련 영상을 찾아주고 “지금 보는 드라마 주인공이 누구야?”와 같은 질문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정보를 확인해 답을 해준다.
미국에서는 구글 어시스턴트를 통해 일정, 맛집 검색, 최신 스포츠 경기 점수 확인 등 구글이 제공하는 차정보검색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식당예약이나 피자주문과 같은 서비스도 제공한다.
구글과 연동되는 IoT 기반의 다른 가전제품도 제어 할 수 있다. LG전자는 미국을 시작으로 구글 어시스턴트 적용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LG전자는 올해 올레드 TV 주요모델에 독자 개발한 화질칩 ‘알파9’을 장착해 보다 완벽한 올레드 화질을 제공한다. ‘알파9’은 올레드 TV의 압도적인 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생생하고 현실감 넘치는 화질을 구현한다.
알파9이 적용된 올레드 TV는 기존제품 대비 노이즈를 절반으로 줄이고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명암비, 선명도, 입체감 등을 개선했다.
색상보정 알고리즘은 정교해졌다. 알파9이 적용된 올레드 TV는 4K 해상도의 HDR HFR 영상을 지원, 화면 끌림 없는 부드러운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LG전자는 나노셀 기술에 ‘풀어레이 로컬디밍’ 기술을 더한 슈퍼 울트라HD TV도 선보인다.
올해 초 첫 선을 보인 ‘나노셀’은 약 1nm 크기의 미세 분자구조를 활용한 기술로 극미세 분자들이 색의 파장을 정교하게 조정해, 보다 많은 색을 한층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LG전자는 여기에 풀어레이 로컬디밍 기술을 더해 LCD TV의 약점인 명암비와 빛 번짐을 개선했다.
신제품은 화면 가장자리에 LED를 배치하는 엣지 방식이 아닌, 화면 뒤쪽 전체에 촘촘하게 LED를 배치하는 풀어레이(직하) 방식을 사용했다.
2018년형 올레드 TV와 슈퍼 울트라HD TV는 ‘돌비비전’, ‘HDR 10’, ‘HLG’ 등 다양한 규격의 HDR 영상을 완벽하게 재생한다.
LG전자는 HDR10으로 제작된 영상도 보다 정교하게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액티브 HDR’ 기능도 신제품에 탑재했다. 또한 지난해 올레드 TV에만 적용했던 입체음향 시스템 ‘돌비 애트모스’를 슈퍼 울트라HD TV까지 확대 적용한다.
권봉석 LG전자 HE사업본부장(사장)은 “인공지능과 더욱 완벽해진 화질로 기존 TV에서 느끼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