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늘(14일)은 '다이어리 데이'다. 한 해를 시작하면서 연인끼리 서로 다이어리를 선물하는 날이다. 연인들은 각자의 1년 계획을 다이어리에 미리 적어 공유하기도 한다.

매달 14일마다 돌아오는 'OO데이'는 1월 '다이어리데이'를 시작으로 2월 '밸런타인데이', 3월 '화이트데이', 4월 '블랙데이', 5월 '로즈데이', 6월 '키스데이', 7월 '실버데이', 8월 '그린데이', 9월 '포토데이', 10월 '와인데이', 11월 '무비데이', 12월 '허그데이' 등이 있다.

각종 데이의 원조격인 밸런타인데이는 3세기 무렵 로마에서 유래했다. 당시 결혼을 금한 황제의 명을 어기고 결혼하는 이들을 돕다가 순교한 밸런타인 신부를 기념하기 위해서다. 이후부터 해마다 연인들이 2월14일에 선물을 주고받으면서 세계적인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에서 데이 기념일은 1990년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기념일로 정착된 밸런타인데이, 화이트데이에 이어 매달 14일에 '○○데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연인끼리 선물을 주고 받거나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문화현상이 만들어졌다.

기업들은 이 같은 기념일을 적극 활용해 '데이 마케팅'을 펼친다. 데이 마케팅(day marketing)이란 특정 기념일을 이용해 그 기념일과 연관이 있는 상품의 판매를 독려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은 기념일을 전후해 자사 상품의 광고나 홍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데이가 늘어날수록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가 증가한다. 고가의 선물을 사도록 부추겨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또 과도하게 늘어난 각종 데이 때문에 기념일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주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