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세훈 서울시장이 자신이 제안한 안심소득을 22일 치켜세웠다. 사진은 지난 11일 서울 목동 CBS에서 열린 2021 생명돌봄국민운동캠프 출범식에 참석한 오 시장. /사진=뉴스1(국회사진취재단) |
오 시장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안심소득은 국가기초생활보장제도보다 지원대상과 소득보장 수준을 넓혀 취약계층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는제도”라며 “안심소득이 저소득층의 생계를 현실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저의 안심소득과 이 후보의 기본소득은 실현 가능성에서 차이가 있다”며 기본소득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오 시장은 “이 후보는 오는 2023년부터 예산 20조원을 확보해 전국민에게 연 25만원을 지급하고 지급액을 10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겠다고 말했다”며 “이런 방식은 유럽 복지국가에서도 성공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 “가구별 형편을 따지지 않고 연 100만원을 지급하면 어려운 저소득층의 생계가 해결되겠느냐”며 “다수에게 선심을 쓰는 의미는 있으나 현실의 물가와 주거비를 따라가지 못하는 기존 복지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기본소득을 22일 비판했다. /사진=오 시장 페이스북 캡처 |
오 시장은 “반면 안심소득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은 저소득층의 생계를 현실적으로 보호하고 이들이 새로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또 “월 소득이 중위소득 20%(39만원)인 1인가구가 안심소득을 지원받으면 중위소득 85%인(165만3000원)에 못 미치는 소득 부족분의 절반인 63만원을 서울시에서 보전받는다”며 “4인가구인데도 소득이 없다면 월 217만원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게 되면 현재 정부에서 주는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보다 더 든든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며 “생계급여는 중위소득 30%, 주거급여는 중위소득 45%까지만 지급되니 중위소득 46%를 넘는 수준(1인가구 기준 월 90만원대 소득)도 안심소득을 통해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재원 마련 방안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복잡하게 운영되고 있는 생계급여, 주거급여, 기초연금, 청년수당 등을 정리해 하나의 창구에서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시범사업을 거쳐 단계적으로 확대해가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안심소득이 도입되면 시민들의 근로의욕이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뜻하지 않은 위기로 일을 할 수 없게 됐을 때 최소한의 생계를 보호해준다고 거기에 안주해 일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은 시민들에 대한 모독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오 시장이 말한 안심소득은 중위소득 85%(소득하위 33%) 이하, 재산 3억2600만원 이하 가구에 중위소득 85%에 못 미치는 금액의 절반을 서울시가 지원하는 제도다. 해당 제도는 다음해 사범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어 “그렇게 되면 현재 정부에서 주는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보다 더 든든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며 “생계급여는 중위소득 30%, 주거급여는 중위소득 45%까지만 지급되니 중위소득 46%를 넘는 수준(1인가구 기준 월 90만원대 소득)도 안심소득을 통해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재원 마련 방안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복잡하게 운영되고 있는 생계급여, 주거급여, 기초연금, 청년수당 등을 정리해 하나의 창구에서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시범사업을 거쳐 단계적으로 확대해가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안심소득이 도입되면 시민들의 근로의욕이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뜻하지 않은 위기로 일을 할 수 없게 됐을 때 최소한의 생계를 보호해준다고 거기에 안주해 일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은 시민들에 대한 모독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오 시장이 말한 안심소득은 중위소득 85%(소득하위 33%) 이하, 재산 3억2600만원 이하 가구에 중위소득 85%에 못 미치는 금액의 절반을 서울시가 지원하는 제도다. 해당 제도는 다음해 사범사업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