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권인숙 위원장과 여야 의원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신당역 역무원 피살사건 피해자를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9.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
(서울=뉴스1) 박혜연 이밝음 기자 = 여야는 16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위 구성에 극적으로 합의했다. 지난 7월22일 21대 후반기 국회 원구성이 완료된지 56일 만이다.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10개월씩 번갈아 여가위 산하 소위원장을 맡는 데 합의했다.
올해 10월부터 2023년 7월까지 국민의힘이 법안소위·청원소위원장을 맡는 한편 민주당이 예결소위원장을 맡고, 2023년 8월부터 2024년 5월까지는 반대로 민주당이 법안소위·청원소위원장을 맡고 국민의힘이 예결소위원장을 맡는 식이다.
3개 소위는 각각 민주당 위원 4명, 국민의힘 위원 3명으로 구성된다. 비교섭단체 위원인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권인숙 여가위원장과 협의해 3개 소위 중 한 곳으로 배정될 예정이다.
앞서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여가위 전체회의에서 여야 위원들은 소위 구성 합의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준호 민주당 의원은 "4월 이후 발의된 법안만 해도 서른 개 정도 된다. 신당역 사건과 마찬가지로 성폭력 피해에 대한 법률안만 7건이 올라와 있다"며 "상임위가 소위 구성을 정치적 셈법에 의해 자꾸 미루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권인숙 위원장은 "상황이 심각한 것을 알고 있다. 노력해보겠다"고 답했다.
이날 회의가 끝난 후 여가위 여야 간사인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과 유정주 민주당 의원이 논의 끝에 협상을 최종 마무리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가위 소위 구성이 지연된 이유는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안 처리를 두고 여야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법안소위를 서로 가져가기 위한 기싸움이 지지부진하게 이어졌기 때문이다.
여가위는 소위 위원들 명단이 확정되는 대로 소위 구성의 건을 의결하고 다음달 25일에는 여성가족부 등 6개 소관기관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