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고객 확대, 플랫폼·수수료 비즈니스 성장을 등에 업고 연간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8일 카카오뱅크는 '2022년 연간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7.5% 증가한 353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연간 영업수익은 전년 대비 50.8% 성장한 1조6058억원, 순이익은 28.9% 증가한 263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영업수익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사상 최고치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기준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 이익 확대, 주택담보대출 등 신상품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 플랫폼·수수료 비즈니스 성장에 힘입어 연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영업수익은 48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8%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858억원, 당기순이익은 606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와 비교해 65.0%, 67.4% 증가했다.
수신 잔액은 2021년 말 30조원에서 지난해 말 기준 약 33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저원가성 예금이 61.3%의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여신 잔액은 25조9000억원에서 27조9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중저신용자 대출과 전월세보증금·주택담보대출이 성장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주택담보대출의 지난해 4분기 취급액은 직전 분기와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한 7900억원으로 집계됐다.
중저신용자 대상 무보증 신용대출 잔액은 3조2414억원으로 전년 말 2조4643억원과 비교해 증가했다. 잔액 비중은 전년 말 17%에서 25.4%까지 8.4%포인트 상승했다.
고객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뱅크 고객수는 2042만명으로 2021년 말 1799만명에서 1년 사이 243만명이 늘었다. 경제활동인구 대비 침투율은 처음으로 70%를 넘었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역대 최다인 1644만명(닐슨미디어 디지털 데이터 기준)을 기록했다.
고객 연령별 비중은 ▲10대 8% ▲20대 24% ▲30대 25% ▲40대 23% ▲50대 이상 20%로 나타났다.
증권사 주식 계좌는 지난해 94만좌 신규 개설돼 누적 614만좌가 개설됐다. 연계대출은 누적 취급액 5조7000억원을 달성했으며 제휴 신용카드는 누적 57만장이 발급됐다.
은행·빅테크의 슈퍼앱 전략 강화 및 플랫폼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카카오뱅크는 올해도 다양한 신규 상품 및 서비스를 출시해 고객 활동성과 트래픽을 확대하고 플랫폼 비즈니스 수익을 다변화한다는 전략이다.
먼저 올해 상반기 중 '팬덤 기반'의 수신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청소년 전용 금융 서비스 '미니' 대상 고객 연령대도 현재 만 14~18세에서 낮출 계획이다.
여신 부문에서는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사업자 등에서 신규 상품을 추가한다. 이외에도 향후 라이선스 취득 일정에 맞춰 펀드 판매 서비스를 도입하고 다양한 투자 상품을 추가할 방침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향후 라이선스 취득 일정에 맞춰서 펀드 판매 서비스를 론칭하고 투자 플랫폼으로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식 외 유형·무형의 다양한 투자 상품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