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청
전남도청

"스마트워치, 명품넥타이, 가정용 청소기, 남성용 바지, 홍삼 등 건강식품..."

행정업무에 사용하도록 책정된 도청의 '사무관리비'로 사적인 물품을 구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전라남도가 감사를 벌이고 있다.


특히 정의당도 사무관리비 부정사용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촉구하는 등 지역사회에 파장을 몰고 오고 있는 가운데 경찰 수사로 까지 번질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뉴스1과 머니S 취재를 종합하면 도 감사관실은 최근 도청 공무원 A씨가 사무관리비를 사적용도로 사용했다는 제보를 받고 감사에 나섰다.

사무관리비에는 일반수용비, 위탁교육비, 운영수당, 피복비, 급량비, 임차료 등으로 대부분 행정업무에 사용하도록 책정돼 있다.


전남도 소속 공무원들은 청사 1층 매점에서 사무용 비품 등 소모품을 주로 구입해 사용 중이다. 다만 매점에 구비되지 않은 물품은 특정 인터넷쇼핑몰 계정을 이용해 구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 부서의 경리업무를 맡은 서무 담당자들이 쇼핑몰 장바구니에 물건을 담아두면 매점이 대신 결제한다.

이렇게 구매하는 과정에서 수수료가 19% 청구되고 이는 전남도청 공무원노조의 수입으로 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예산사용 지침 위반 등의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도 감사관실은 이날 중으로 팀을 꾸려 최근 5년간 전 실국의 사무관리비로 구입한 물품을 확인하는 등 조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수수료 19%와 관련해 예산사용 지침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정의당 전남도당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사무관리비는 담당 공무원 혼자 지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담당자는 기안서를 작성하고 품의서를 올려 상급자의 결재를 통해 지출이 가능하다"면서"이에 사무관리비에 대한 기안 , 결재, 지출과정 전반에 허술함이 없었는지 따져볼 일이다"고 꼬집었다.

덧붙여 "이번 사태가 전남도 공무원의 사무관리비 지출 및 공직기강을 새롭게 다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감사관실 관계자는 "사무관리비로 개인적인 용품을 구입한 것과 관련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며 "어떤 물품을 구입했는지 등은 감사가 진행 중인 만큼 알려주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제보 내용처럼 횡령으로 드러날 경우 징계처분 외에도 사법당국에 고발조치할 계획"이라며 "팀을 꾸려 사무관리비 구입 물품 내역을 전 실국으로 확대해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구매 수수료 19% 이득에 대해서도 예산사용 지침이 적합한지 파악하고 있다"며 "감사 결과 잘못된 점은 바로잡고 재발방지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편 전남도의 사무관리비를 년도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121억원이였으며 올해는 8억 가량 증액된 129억 68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