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69시간 노동제가 폐기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35회 한국노사협력대상 시상식에서 축사하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사진=뉴시스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69시간 노동제가 폐기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35회 한국노사협력대상 시상식에서 축사하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사진=뉴시스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69시간 노동제가 폐지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 18일 YTN 라디오 '뉴스 정면승부'와 전화 인터뷰를 진행한 김 위원장은 69시간 노동제에 대해 "많은 저항이 있기 때문에 의견 수렴을 하는 과정으로 신중하게 재 검토를 하고 있다"며 "폐기 될 수도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노동자와 국민, 산업현장, 영세 중소기업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할 것"이라며 "그 의견에 맞춰 폐기할 수도 있고 계속 입법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하면서도 김 위원장은 "반대 의견이 많을 경우 폐기수순을 밟아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언급했다. 결론 도출 시점에 대해서는 "빨리 내리면 좋지만 이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현장의 문제"라며 "쉽게 정리될 것 같지 않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투잡보다 원잡으로 조금 더 연장근무를 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라며 "52시간밖에 근무를 못 하게 하면 회사 끝나고 또 나가서 대리운전을 해야 하고 복잡하지 않냐"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정부는 이런 부분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부분에 반대가 너무 많고 대통령이 소속된 국민의 힘은 115석밖에 안 된다"며 "법안을 내더라도 185석을 가진 야당이 찬성해 줄 리도 없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신속하게 결론 내리는 것이 좋다"는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