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경사노위 참여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사진은 7일 오후 전남 광양시 중동 한국노총 광양지역지부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를 마친 뒤 대통령 직속 사회적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불참을 선언하는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 /사진=뉴스1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경사노위 참여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사진은 7일 오후 전남 광양시 중동 한국노총 광양지역지부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를 마친 뒤 대통령 직속 사회적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불참을 선언하는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 /사진=뉴스1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대통령 직속 사회적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7일 낮 12시30분 전남 광양시 중동 한국노총 광양지역지부 2층 회의실에서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를 개최한 뒤 "이 시간 이후로 진행되는 모든 경사노위 대화기구에 전면 불참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은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지난달 31일 경찰이 망루 농성 중인 금속노련 김준영 사무처장을 강경 진압한 것은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노동계에 대한 강력한 탄압"이라며 "한국노총은 전 조직적으로 (정부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에 한노총 전 조직이 한목소리로 나설 것을 오늘 결의했다"며 "정부 심판 투쟁의 일환으로 경사노위의 모든 대화기구를 전면 중단할 것을 결의했다"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한국노총이 경사노위에서 완전히 탈퇴하는 문제는 위원장에게 달렸다"며 "탈퇴 시기, 방법은 집행부에 위임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식적인 발표는 8일 오전 대통령실 앞에서 위원장과 집행부가 참여한 가운데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지난달 31일 경찰이 망루 농성 중인 금속노련 김준영 사무처장을 강경 진압하자 이날 경사노위에 불참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위원회가 열리는 '광양'은 김만재 위원장이 짓밟히고 김진영 사무처장이 유혈 진압된 곳"이라며 "폭력 사태는 윤석열 정권의 뿌리 깊은 노동 혐오가 숨어있다고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이런 사태가 벌어졌는데) 수많은 노동 현장에서 어떤 노동조합이 제대로 된 임단협을 하고 제대로 된 투쟁을 할 수 있겠느냐"라며 "여기서 미흡하게 대처하거나 물러난다면 제3의 광양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노총은 150만명의 조합원을 지키고 2500만명의 노동자의 삶을 지키기 위해 강력한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동자의 권리와 이익을 침해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무도한 공격을 감행하는 건 오만함 때문"이라며 "윤석열 정부가 확실하게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포스코는 400일이 넘는 동안 사회적 합의 이행을 위해 투쟁하는 것을 중재하지 않고 방관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