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자국의 요소 공급 차질을 우려, 수출을 막으면서 '요소수 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2년 전 요소수 대란을 겪으며 공급처 다변화를 추구했지만 최근엔 오히려 중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달 말 자국 기업에 요소 수출 자제방침을 전달했다. 공식 제한조치는 아니지만 사실상 수출을 막은 것.
중국산 요소는 2021년 전체 요소 수입액에서 약 71%를 차지했지만 지난해 약 67%로 떨어졌다가 올해 약 91%까지 증가했다. 2년 전 중국의 요소 수출제한조치로 큰 타격을 입은 뒤 관련업계는 동남아 등으로 수입처 다변화에 나섰지만 가격 경쟁력이 압도적인 중국산 의존도가 도로 높아진 상황.
이는 롯데정밀화학을 제외하면 요소수 제조업체 대부분이 중소기업인 탓도 작용했다. 정부가 나서서 수입처 다변화를 강제하기 어려운 배경이기도 하다.
앞서 지난 9월 중국이 또다시 요소 수출을 통제할 당시엔 비료용이어서 큰 파장은 없었다. 하지만 최근 통제 대상에 자동차용 요소를 포함하면서 올 겨울 요소수 대란이 불거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올해 농업용 요소 중국 의존도는 17.4% 수준이지만 자동차용 요소의 중국 의존도는 90%를 웃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재고와 중국 외 국가에서 국내 도입을 앞둔 물량까지 포함해 총 3개월치 재고가 확보됐다고 했다. 정부는 해당 기간 내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 협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화물차업계 관계자는 "유가 인상에 요소수 수급 부족 사태까지 겹치면 화물차 운전자들의 부담이 매우 커진다"며 "이미 가격이 요동치고 있고 재고 여부도 매번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