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 제공) |
(서울=뉴스1) 윤다정 기자 = 전동 킥보드 무단주차 신고 시스템을 개선하고 전국 최초로 견인 제도를 실시한 사례가 올해의 서울시 '민원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최우수상으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2023년 민원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9건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보행자전거과는 개인형 이동장치 증가에 따라 사고 건수와 민원 건수도 증가하자 신고 시스템을 구축·개선하고 전국 최초로 견인 제도를 실시했다. 10만대 이상의 무단 방치된 개인형 이동장치를 견인했다.
우수상은 중구의 '한 장의 건축물대장에 개별주택가격 등재 발급 서비스 추진', '이웃과의 분쟁과 갈등을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는 갈등소통방 운영', 서울교통공사의 '도착역이 어디인지 계속 확인하는 외국인 IOT 활용 지하철 앱으로 해결' 등 3건이 선정됐다.
장려상에는 소상공인담당관의 '상가임대차 분쟁해결 지원 민원서비스 개선', 송파구의 복잡한 민원처리는 이제 그만! 하하호호 즐거운 민원행정서비스', 120다산콜재단의 '서울시 챗봇 현장민원 시스템 개선 및 자동분배 확대운영', 서울교통공사의 '엘리베이터 AI 영상분석 자동호출시스템 설치운영', 구로구의 '서울시 최초 외국인 밀집 동주민센터 중국어 통역 인력 배치' 등 5건이 선정됐다.
민원서비스 개선 우수사례로 선정된 부서·기관에는 최우수 300만원, 우수 각 200만원, 장려 각 100만원의 상금과 상장이 수여된다.
한편 서울시는 올 한 해 우수한 민원 처리로 대시민 서비스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 우수기관 15개도 발표했다.
연간 총 180만여건에 달하는 민원의 처리 기한 준수율 등을 평가한 점수와 전화·방문 민원 응대의 친절도를 암행 평가원 방식으로 평가한 점수 등을 합산해 선정했다.
시 본청과 사업소 중에서는 공정경제담당관이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응답소 민원과 전화민원 응대 친절도 항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지난해 우수상에 이어 올해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투자출연기관 중에서는 응답소 민원 평가에서 매우 우수 등급을 받은 서울경제진흥원이 최우수 기관에 선정됐다. 자치구 중에서는 성동구가 법정 민원과 응답소 민원 항목 모두에서 최고점을 기록하며 3년 연속 최우수 자치구에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