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게재 순서
①미래 모빌리티 핵심 EV, 판매량 감소
②비싼 가격, 줄어드는 보조금… 고개 돌리는 소비자
③분명한 단점, 위축된 전기차 시장… 돌파구 찾아라
①미래 모빌리티 핵심 EV, 판매량 감소
②비싼 가격, 줄어드는 보조금… 고개 돌리는 소비자
③분명한 단점, 위축된 전기차 시장… 돌파구 찾아라
지난해 전기자동차(EV) 판매량이 꺾였다. 세계 곳곳에서 판매량이 주춤하고 국내 역시 판매 부진을 피해가지 못했다. 부진의 이유는 분명하다. 비싼 출고가에 보조금도 줄었다. 올해 환경부의 전기차 보급 지원 예산도 삭감됐다.
환경부 예산 급감… 車 한 대당 지급 규모도 뚝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시장은 전기차 판매 확대를 기대했다. 소비자의 까다로운 입맛을 충족시킬 다양한 라인업을 쏟아내며 진용을 구축했고 단점으로 지적됐던 짧은 주행거리도 늘리며 문제점도 보완했다.글로벌 완성차업계가 가졌던 성장 기대감은 연초부터 무너졌다. 판매량이 정체되며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과거 몇 년 동안 거둔 높은 판매실적은 얼리어댑터 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에 기댔었기 때문에 가능했는데, 이들의 구매가 끝난 현재는 판매 증가 효과를 거두기 힘들 것이란 전망도 이어졌다.
얼리어댑터 소비자에 이어 일반 주류 소비자의 판매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구매욕을 자극할 요소가 필요하지만 현실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회는 최근 환경부의 올해 전기차(버스 및 화물차, 이륜차 포함) 보급 지원 예산을 총 1조7340억원으로 확정했다. 지난해(1조9180억원) 보다 1840억(약 10%) 준 금액이다.
|
전체 예산이 줄면서 지난해 대당 평균 약 500만원 지급하던 전기차 국고보조금이 올해는 약 100만원 줄어든 400만원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전기차 한 대당 지급되는 평균 국고보조금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 700만원 ▲2022년 600만원 ▲2023년 500만원 ▲2024년 400만원이다.
정부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구매자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출고가는 비싸지고 보조금이 줄면서 실구매자들이 등을 돌리고 있다.
소비자가 구매를 망설이게 됐고 이 같은 분위기가 전체 판매량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들쑥날쑥 정책에 판매 감소 타격 불가피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관련 정책이 매년 바뀌는 것도 소비자가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 규모와 범위 등 관련 지원사업 세부사항을 매년 1~2월에 새로 규정한다.매년 말이 되면 한 해 전기차 보조금 지원 사업이 중단되는 데다 연초(1~2월)에는 그 해 보조금 지급 규모 등을 정하는 시기여서 전기차 판매량은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부진하다.
정부 지침이 나온 이후에도 각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규모가 확정되는 데까지는 추가 시간이 소요된다. 이 기간에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 공백이 생기기 때문에 가뜩이나 떨어진 전기차 판매 부진은 당분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
|
해외 사정도 비슷하다. 최근 각 나라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 규모를 줄이며 소비자가 가져갈 인센티브를 축소하고 있다. 중국·영국·스웨덴 등은 지난해부터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전면 폐지했다.
전기차 비율이 신차의 80%에 달하는 노르웨이도 전기차 구매 소비자에 대한 혜택을 대폭 줄였다. 노르웨이는 지난해부터 전기차를 대상으로 한 부가가치세와 자동차구매세 면제 혜택 제공을 중단했다.
독일은 올 연말까지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었지만 1년을 앞당겨 지난해 말 폐지했다. 독일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210만대의 전기차에 총 100억유로(약 14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한 바 있다.
각 나라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지급에 소극적인 모습을 나타내면서 전동화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는 완성차업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이호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는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는데 올해는 국내 총선 등의 영향으로 정책 변화 가능성이 존재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예측된다"고 짚었다.
이어 "올해 11월 진행될 미국 대통령 선거를 전후해 그동안의 정책을 크게 강화하거나 역으로 크게 후퇴하는 상황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유럽에서 중국 전기차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도 추진되면서 시장 구도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