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어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용·김만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은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일부 환자에게서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 전 중추신경감작·신경손상 등의 검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9~2020년 서울성모병원에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고자 내원한 환자 중 316명을 대상으로 중추신경감작과 신경병증성 통증 검사를 시행했다. 통증의 유무에 따라 4군(▲중추신경감작 ▲신경병증 ▲둘 다 포함 ▲둘 다 미포함)으로 나누어 수술을 진행했고 2년 간 임상 양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 중 17.4%의 환자가 중추감작과 신경병증성 통증을 모두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은 퇴행성 관절염 말기 단계에서 시행하는 수술로 손상된 관절을 제거한 뒤 특수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로 된 인공 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약 20%는 수술 후에도 영상의학적 소견이 정상임에도 지속적인 통증이나 불편감을 호소한다.
특히 장기간 퇴행성 관절염을 앓아 중추신경계의 감작으로 무릎 통증에 예민해진 경우와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경우에 이러한 경향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
중추신경감작은 중추신경계가 통증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 현상이다. 유전적인 소인이 없이도 오랜 기간 퇴행성 관절염으로 야기된 무릎 통증만으로 중추신경계가 감작될 수 있으며 실제로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을 앞둔 환자의 20~30%는 중추신경계가 이미 감작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이란 신경 손상과 비정상적 신경기능으로 발생되는 만성적 병적 통증을 말한다. 당뇨병 합병증·알코올 중독 환자의 말초 신경통증·허리 디스크에 의한 통증·항암제 부작용 등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김 교수는 "중추감작과 신경병증성 통증이 인공관절 수술 이후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최근 들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두가지를 동시에 고려해 임상 양상을 확인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수술 전 중추감작과 신경병증성 통증을 미리 선별해 환자들에게 수술 후의 경과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면 맞춤형 환자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